[앵커]
문 대통령의 DMZ 평화 지대 제안은 남북이 맞닿아 있는 땅, 비무장지대를 이용해 북한이 원하는 안전을 보장해주겠단 뜻으로 읽힙니다.
문 대통령의 새로운 구상을 북측이 받아들일지 여부가 관건인데요.
뉴욕 현지에서 강민경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DMZ 평화지대 제안에는 북한의 체제를 현실적으로 보장해주려는 문재인 대통령의 고민이 녹아 있습니다.
<문재인 / 대통령> "한국은 북한의 안전을 보장할 것입니다. 국제 평화지대 구축은 북한의 안전을 제도적이고 현실적으로 보장하게 될 것입니다."
청와대는 북한이 비핵화 이후 펼쳐질 상황에 확신이 없어 협상에 뜸을 들인다고 분석합니다.
그래서 남북 접경 지역을 국제적인 평화 지대로 만들어, 유엔의 이름으로 북한의 체제를 보장해주겠다는 게 문 대통령의 구상입니다.
문 대통령은 또 DMZ 평화지대가 비핵화에 대한 북한의 의지를 보여주는 기회가 될 거라 전망했습니다.
이렇게 국제 사회의 신뢰를 얻는다면, 미국도 북한의 체제를 보장해줄 수밖에 없단 맥락입니다.
<문재인 / 대통령> "북한이 진정성을 가지고 비핵화를 실천해 나간다면 국제사회도 이에 상응하는 모습을 보여주어야 합니다."
지뢰 제거란 구체적 방법까지 제시했지만, 현실화될지는 미지수입니다.
적극 협력해야 할 북한이 정작 관심을 보일 지 여부가 불확실하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실무 협상을 목전에 둔 북한은 당장 이득이 될 제재 해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게다가 북한이 평화 지대 구축 약속을 한다 해도, 북미 관계 등 외부 요인에 따라 약속을 이행하지 않을 가능성도 남아 있습니다.
결국 문재인 대통령의 구상이 실현되려면 김정은 위원장의 결단이 필요합니다.
김 위원장이 우리 쪽에서 내민 남북관계 진전 시도의 손을 맞잡을지 주목됩니다.
뉴욕에서 연합뉴스TV 강민경입니다. (kmk@yna.co.k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2019/09/25 07:13 송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