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최근 7년 간 서울시 가계대출이 90조원 늘었다는 조사가 나왔습니다.
그 중 절반 이상은 주택대출이었습니다.
백길현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서울연구소의 조사에 따르면 2017년 기준, 서울의 가계 부채는 285조원으로 7년새 90조원이 늘었습니다.
특히 이 기간 주택대출은 52조원 늘었습니다.
가계대출 증가분의 절반이 넘는 58% 비중입니다.
저금리 기조 속에 아파트 가격 상승으로 빚을 내 주택을 구매한 사람이 많아 부채 증가로 이어진 것으로 해석됩니다.
서울 가계대출이 지역 내 총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16년 기준 74.1%로 전국 평균 55.3%보다 18.8%P나 높습니다.
금리가 인상될 경우 서울이 더 큰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는 것이 전문가의 지적입니다.
실제로 서울연구원이 서울 시민 1,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10명 중 6명이 부채 원금 상환과 이자납부가 부담된다고 답했습니다.
전문가들은 정부가 내놓은 9·13 부동산 대책 등을 계기로 주택대출 증가세가 둔화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이인철 / 참조은경제연구소 소장> "이미 대출규제는 정부차원에서 지난해 부터 꾸준히 강화되어온 측면이 있기 때문에 대출을 일으키려는 소비자는 미리 땡겨쓴 것이여서 증가할 수 밖에 없는 사안이고요."
서울시가 가계 부채 대책을 내놓은 것은 지난 2012년이 마지막이었습니다.
당시 25개 자치구에 전문가를 배치해 '가계부채 종합상담센터'를 운영했지만 1년도 안돼 이듬해 2월 일제히 문을 닫았습니다.
해당 업무는 서울금융복지상담센터로 흡수됐는데 시내에 총 14곳에 불과해 접근성이 줄었습니다.
연합뉴스TV 백길현입니다.
white@yna.co.k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2019/01/04 19:44 송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