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리뷰]
[앵커]
특검의 수사 기한을 연장하는 '특검법 개정안'이 결국 국회 문턱을 넘지 못했습니다.
결국 공은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의 손으로 넘어간 상황에서 여야는 특검 연장을 둘러싸고 치열한 공방전을 폈습니다.
홍제성 기자입니다.
[기자]
정세균 국회의장과 여야 4당 원내대표는 국회 본회의를 앞두고 최종 담판을 벌였지만 결국 합의에 실패했습니다.
야권의 직권상정 요구를 여당이 반대함으로써 절충점을 찾지 못한 것입니다.
정 의장은 교섭단체 원내대표 간 합의가 없으면 자의적인 직권상정이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했습니다.
대신 정 의장은 황 대행과 통화에서 특검 연장이 바람직하다고 했습니다.
특검의 연장 여부는 결국 황 대행의 손에 달리게 됐습니다.
오는 28일까지가 기한인데 황 대행이 연장을 수용하지 않으면 활동은 종료됩니다.
야권은 황 대행을 압박하는데 총공세를 폈습니다.
<우상호 /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만약에 안 해 준다면 그분 자체가 현행법을 위반하는 것이 되어버리는 거죠. 재량권 남용이 되는 겁니다. 그래서 그건 국회 탄핵 사유가 될 수 있습니다."
국회에서는 특검연장을 촉구하는 야권의 피켓시위도 이어졌습니다.
여당은 이에 맞서 황 대행의 불승인을 촉구했습니다.
<정우택 / 자유한국당 원내대표>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도 국익과 국민을 위해 단호한 결정을 내려주시기를 기대합니다."
황 대행은 여야의 주장이 엇갈리는 가운데 고민중이란 입장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현재로선 연장을 승인하지 않을 것이란 관측이 우세한 가운데 황 대행이 어떤 선택을 할지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연합뉴스TV 홍제성입니다.
연합뉴스TV : 02-398-4441(기사문의) 4409(제보), 카톡/라인 jebo23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2017/02/23 21:41 송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