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드론과 자율주행차 등 신산업들은 부처 간 칸막이와 규제가 활성화의 걸림돌로 지적돼 왔습니다.
해당 산업 관련성이 높은 국토교통부와 미래창조과학부가 정책적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김동욱 기자입니다.
[기자]
미래 신산업 중 하나로 꼽히는 드론.
그런데 그동안은 무선 주파수 간섭 등으로 인한 추락 가능성 등 안정성 우려가 제기돼 왔습니다.
자율주행차 역시 무선 통신기술이 필수인 만큼 주파수 확보가 주요 과제 중 하나입니다.
관련 부처간 협조 없이는 이들 산업의 발전을 꾀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많았습니다.
이런 목소리에 국토교통부와 미래창조과학부가 손을 잡기로 결정 했습니다.
<강호인 / 국토교통부 장관> "국토교통부는 이런 실용화 사업들이 필요한데 그 원천기술은 미래창조과학부에서 주로 하시면서…"
두 부처는 당장 드론 이용 활성화를 위한 전용 주파수를 분배하고 자율주행차 상용화를 위한 주파수 활용기반을 조성하기로 했습니다.
또 국토부의 3차원 기반 정밀 공간정보를 미래부의 평창ICT 올림픽 계획에 활용하고 공동으로 개발중인 차세대 중형위성 등에도 힘을 모으기로 했습니다.
스마트 도시 구축 사업과 판교 창조경제밸리 조성도 함께 하는 등 미래 먹거리를 키우는 협업부처로서 시너지를 극대화해 나갈 방침입니다.
<최양희 / 미래창조과학부 장관> "둘을 합치면 매우 시너지가 납니다. 예를 들어서 오늘 같이 시연을 본 드론이라던가 자율주행차, 스마트시티 등…"
양 부처는 향후 출현 가능한 신산업에 대해서도 함께 규제 완화를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연합뉴스TV 김동욱입니다.
연합뉴스TV : 02-398-4409(제보) 4441(기사문의), 카톡/라인 jebo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