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집중휴가 도입하고 보고서 줄이고…원희룡 장관의 실험

송고시간2023-06-11 07:00

beta
세 줄 요약

국토교통부가 여름·겨울 공무원 집중휴가를 도입하고, 회의만을 위한 보고서 작성을 최소화하기로 했다.

민간과 비교해 낮은 연봉, 경직된 공직 문화, 국회 권력이 커진 데 따른 독립성 저하 등으로 공직을 떠나는 공무원들이 급증하는 가운데 조직문화부터 바꿔보자는 처방을 원희룡 국토부 장관이 내놨다.

11일 국토부에 따르면 원 장관은 최근 "일하는 방식을 국토부가 먼저 적극적으로 바꿔보자"면서 공무원들이 눈치 보지 않고 주어진 휴가를 다 쓸 수 있게 하라고 지시했다.

요약 정보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줄인 '세 줄 요약' 기술을 사용합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과 함께 읽어야 합니다. 제공 = 연합뉴스&줌인터넷®
이 뉴스 공유하기
본문 글자 크기 조정

불필요한 '국회 대기'도 최소화

2030 공무원 65% '기회되면 이직'…탈공무원 가속화에 방안 마련

공공기관 청년들과 '소통미팅'에 참석한 원희룡 장관
공공기관 청년들과 '소통미팅'에 참석한 원희룡 장관

[국토교통부 제공]

(세종=연합뉴스) 박초롱 기자 = 국토교통부가 여름·겨울 공무원 집중휴가를 도입하고, 회의만을 위한 보고서 작성을 최소화하기로 했다.

민간과 비교해 낮은 연봉, 경직된 공직 문화, 국회 권력이 커진 데 따른 독립성 저하 등으로 공직을 떠나는 공무원들이 급증하는 가운데 조직문화부터 바꿔보자는 처방을 원희룡 국토부 장관이 내놨다.

11일 국토부에 따르면 원 장관은 최근 "일하는 방식을 국토부가 먼저 적극적으로 바꿔보자"면서 공무원들이 눈치 보지 않고 주어진 휴가를 다 쓸 수 있게 하라고 지시했다.

이에 따라 국토부는 하계·동계 휴가를 각각 5일 이상 붙여서 쓰는 집중휴가를 도입한다.

국토부는 이미 6∼8월과 12월을 집중휴가 기간으로 정하고 있지만 말뿐이다. 직원들의 평균 휴가 사용일은 지난해 6∼8월 2.02일, 12월 2.24일에 그쳤다.

한 국토부 사무관은 "공무원이 된 이후 한 번도 휴가를 5일 연속으로 써본 적이 없다"며 "기업에 다니는 친구들에게 이야기하면 다들 놀란다"고 말했다.

그는 "쓰지 말라는 사람은 없지만 아직까지 휴가를 5일 붙여 쓰거나, 주어진 연차휴가를 모두 소진하는 건 눈치가 보인다"고 했다.

현실이 이렇기에 '용자'가 돼 휴가를 길게 내고 해외여행을 다녀오면 부 내에 파다하게 소문이 나기도 한다.

윗사람이 휴가를 가지 않으면 부하직원의 휴가도 어렵다는 점을 고려해 원 장관은 예년보다 이른 여름휴가를 떠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정부세종청사
정부세종청사

[행복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국토부는 업무강도가 센 편이라 20∼30대 사무관들 사이에선 '중국산고기'로 분류된다. 기피 부서로 꼽히는 중소벤처기업부, 국토부, 산업통상자원부, 고용노동부, 기획재정부의 앞 글자를 딴 용어다.

국토부가 직원 사기 진작을 위해 집중휴가와 함께 검토하는 방안은 국회 대기 및 보고서 축소다.

공무원들이 피로도가 높다고 꼽는 업무 중 하나가 국회 대기다.

국회로부터 질의서가 넘어오는 것을 밤늦게까지 기다리고, 질의서가 온 뒤엔 답변을 준비하느라 새벽까지 근무하는 경우가 잦다.

국토부는 현안이 있는 부서가 아니라면 최소 인력만 사무실에서 대기하고, 나머지 직원들은 전화와 근거리 대응을 할 수 있도록 근무 체계를 바꾼다는 계획이다.

또 보고서는 꼭 필요할 때만 쓰는 문화를 만들기로 했다.

매일 아침 장관이 주재하는 실·국장 회의부터 '보고서 없는 회의'로 만든다.

국토부 관계자는 "형식적인 일은 싹 걷어내자는 게 기본 방향"이라며 "형식적인 보고서를 쓸 시간에 전문가를 만나 견문을 넓히라는 게 장관의 뜻"이라고 말했다.

국토부는 사기 진작 방안을 시범적으로 도입해 본 뒤 추가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선언적 조직문화 개선을 넘어서 현장에 잘 정착시키는 게 관건으로 보인다.

한국행정연구원이 실시한 지난해 공직생활 실태조사 결과 '기회가 된다면 이직하겠다'고 답한 공무원은 2020년 31.0%, 2021년 33.5%에서 지난해 45.2%로 한 해 동안 11.7%포인트나 늘었다. 공직생활실태 조사가 실시된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이런 현상을 주도한 집단은 20∼30대면서 대졸 이상, 재직 기간이 5년 이하인 6∼9급 공무원이었다. 이들 집단에서 이직 의향은 65.3%로, 전체 응답자보다 20.1%포인트 높았다.

전체 응답자의 답변을 연령별로 분류했을 때도 이직 의향은 20대(61.3%)와 30대(58.9%)에서 두드러졌다.

chopark@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
오래 머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