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용인서 백제 고분 5기 확인…"4세기 이후 백제 한성기 흔적"

송고시간2023-06-07 09:05

beta
세 줄 요약

경기 용인에서 백제 한성 도읍기(기원전 18년∼475년)의 흔적이 남아있는 고분이 확인됐다.

문화재청은 한국문화유산협회와 함께 용인시 기흥구 보라동 산 62-2번지 일대를 발굴 조사한 결과, 백제시대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돌덧널무덤 5기를 확인했다고 7일 밝혔다.

요약 정보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줄인 '세 줄 요약' 기술을 사용합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과 함께 읽어야 합니다. 제공 = 연합뉴스&줌인터넷®
이 뉴스 공유하기
본문 글자 크기 조정

항아리·가락바퀴·철기류 등 출토…8∼9일 발굴 조사 현장 공개

석곽묘(돌덧널무덤) 조사 모습
석곽묘(돌덧널무덤) 조사 모습

왼쪽부터 3호, 4호, 5호 석곽묘 [문화재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김예나 기자 = 경기 용인에서 백제 한성 도읍기(기원전 18년∼475년)의 흔적이 남아있는 고분이 확인됐다.

문화재청은 한국문화유산협회와 함께 용인시 기흥구 보라동 산 62-2번지 일대를 발굴 조사한 결과, 백제시대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돌덧널무덤 5기를 확인했다고 7일 밝혔다.

돌덧널무덤은 구덩이를 판 뒤 돌을 쌓아 만든 직사각형 모양 무덤으로, 석곽묘(石槨墓)라고도 한다.

보라산 북쪽 능선을 따라 해발 155m 부근에 있는 이 무덤 유적은 지난해 처음 존재가 알려졌다.

발굴조사를 시작했을 당시 무덤은 일부가 지표면에 노출된 상태였다.

5호 석곽묘에서 출토된 유물 모습
5호 석곽묘에서 출토된 유물 모습

[문화재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주변에 운동기구 등 체육시설이 설치돼 있고 사람들이 오가는 등산로로 이용되고 있어 훼손이 우려되는 상황이었다고 문화재청은 전했다.

조사 결과, 총 5기의 무덤에서 항아리, 칼, 도끼 등 다양한 유물이 출토됐다.

무덤은 자연 상태의 돌과 깨진 돌을 활용해 무덤 전체를 벽으로 둘러쌓는 방식과 머리 방향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만 돌을 쌓는 방식 등 두 가지 방식으로 조성된 것으로 파악됐다.

2호 무덤에서는 가락바퀴와 구슬이 확인됐고, 4호 무덤에서는 짧은 목항아리, 굽다리 항아리 등 여러 종류의 토기와 창·낫·칼·도끼·화살촉 등 철기류 유물이 나왔다.

5호 무덤에서도 큰 항아리, 가락바퀴, 구슬 등이 출토됐다.

석곽묘 부근에 운동기구가 설치된 모습
석곽묘 부근에 운동기구가 설치된 모습

[문화재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문화재청은 "유물은 대부분 무덤의 머리나 발 쪽 방향에서 확인되었다. 유물의 제작 시기는 대략 4세기 이후인 백제 한성기로 확인된다"고 설명했다.

보라산 일대에서는 공시레 유적, 공세동 산38번지 유적 등 백제 한성기 고분이 나온 바 있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용인 지역에서 확인된 대단위 무덤 유적 구역의 역사성을 밝히는 데 있어 매우 귀중한 자료를 확인했다"고 평가했다.

문화재청은 8∼9일 발굴 조사 현장을 공개할 예정이다.

조사지역 전경
조사지역 전경

[문화재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yes@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
오래 머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