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군 "1·2단 로켓 연결부위 인양…나머지 잔해물 수색·인양작업"

송고시간2023-05-31 11:27

beta
세 줄 요약

군이 31일 북한이 쏜 우주발사체 낙하지점에서 발사체의 일부로 추정되는 부유물을 인양했으며, 나머지 잔해물에 대해서도 수색·인양 작업을 진행 중이다.

인양한 부유물은 1단 로켓과 2단 로켓 사이 원통형 연결단인 것으로 군은 추정했다.

합참에 따르면 북한은 이날 오전 6시29분께 평안북도 동창리 일대에서 남쪽 방향으로 발사체 1발을 발사했으나, 비정상적으로 비행한 끝에 오전 8시 5분께 어청도 서방 200여㎞ 해상에 낙하했다.

요약 정보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줄인 '세 줄 요약' 기술을 사용합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과 함께 읽어야 합니다. 제공 = 연합뉴스&줌인터넷®
이 뉴스 공유하기
본문 글자 크기 조정

합참 "발사체 일부, 한중 잠정조치수역 낙하"

"우주발사체 가능성 커…과거보다 발사 절차 빨리 진행"

인양되는 '북 우주발사체' 추정 물체
인양되는 '북 우주발사체' 추정 물체

(서울=연합뉴스) 합동참모본부는 북한이 발사한 이른바 우주발사체 일부를 해상에서 인양하고 있다고 31일 밝혔다. 사진은 '북 주장 우주발사체' 일부로 추정되는 물체. 2023.5.31 [합동참모본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photo@yna.co.kr

(서울=연합뉴스) 김승욱 박수윤 기자 = 군이 31일 북한이 쏜 우주발사체 낙하지점에서 발사체의 일부로 추정되는 부유물을 인양했으며, 나머지 잔해물에 대해서도 수색·인양 작업을 진행 중이다.

인양한 부유물은 1단 로켓과 2단 로켓 사이 원통형 연결단인 것으로 군은 추정했다.

군은 나머지 발사체 잔해를 수거한 뒤 전반적인 성능과 외국 부품 사용 여부, 기술 수준 등을 확인할 예정이다.

영상 기사 '북 우주발사체' 추정 부유물 인양작업
'북 우주발사체' 추정 부유물 인양작업

[합동참모본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합참에 따르면 북한은 이날 오전 6시29분께 평안북도 동창리 일대에서 남쪽 방향으로 발사체 1발을 발사했으나, 비정상적으로 비행한 끝에 오전 8시 5분께 어청도 서방 200여㎞ 해상에 낙하했다.

합참은 북한이 발사한 이른바 우주발사체의 일부가 한중 잠정조치수역에 낙하한 것으로 파악했다.

합참 관계자는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북한 발사체의 낙하지점에 대해 "한중 잠정조치수역, 한국과 중국의 중간 해역 정도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잠정조치수역은 서해에서 한국과 중국 어선에 한해 신고 없이 자유롭게 조업할 수 있도록 허용된 수역을 말한다.

합참은 이날 오전 6시30분께 '북, 남쪽 방향으로 "북 주장 우주발사체" 발사'라고 국방부 출입 기자들에게 문자메시지로 공지해다.

합참 관계자는 '탄도미사일' 대신 '우주발사체'로 표현한 까닭에 대해 "탄두가 달려있어야 미사일"이라며 "동창리 (서해위성발사장)에서 쐈으니 우주발사체일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이번에는 과거에 비해 발사 절차가 빨리 진행됐는가라는 질문에는 "과거에 비해 빨라진 것이 맞다"며 "과거에 비해 발사 절차가 빨리 진행됐고, 그 절차에 대해 계속 추적하고 있다"고 답했다.

합동참모본부, '북 주장 우주발사체' 추정 물체 인양
합동참모본부, '북 주장 우주발사체' 추정 물체 인양

(서울=연합뉴스) 합동참모본부는 북한이 발사한 이른바 우주발사체 일부를 해상에서 인양하고 있다고 31일 밝혔다. 사진은 '북 주장 우주발사체' 일부로 추정되는 물체. 2023.5.31 [합동참모본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photo@yna.co.kr

kind3@yna.co.kr

유튜브로 보기

https://youtu.be/kI6y2iGqTEY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
오래 머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