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충주서 과수화상병 3곳 추가…충북 누적 피해 23건 5.8㏊

송고시간2023-05-28 09:15

beta
세 줄 요약

충북 충주에서 과수화상병 확진 농가가 3곳 추가됐다.

28일 충북도 농업기술원에 따르면 전날 충주시 동량면 2곳, 안림동 1곳 등 지역 과수농가 3곳에서 화상병 감염이 확인됐다.

지난 9일 올해 첫 화상병 발생이 보고된 이후 도내 누적 발생은 충주 19건, 제천 3건, 진천 1건 등 총 23건으로 늘었다.

요약 정보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줄인 '세 줄 요약' 기술을 사용합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과 함께 읽어야 합니다. 제공 = 연합뉴스&줌인터넷®
이 뉴스 공유하기
본문 글자 크기 조정

(청주=연합뉴스) 전창해 기자 = 충북 충주에서 과수화상병 확진 농가가 3곳 추가됐다.

과수화상병 방제 작업
과수화상병 방제 작업

[연합뉴스 자료사진]

28일 충북도 농업기술원에 따르면 전날 충주시 동량면 2곳, 안림동 1곳 등 지역 과수농가 3곳에서 화상병 감염이 확인됐다.

농정당국은 이들 농가 중 2곳의 과수원을 폐원하고, 나머지 농가 1곳은 감염된 과수만 부분 제거에 들어갔다.

방제 지침상 감염된 과수가 5% 이상이면 폐원한 뒤 모든 나무를 매몰하고, 그 미만이면 감염된 나무만 제거한다.

이로써 지난 9일 올해 첫 화상병 발생이 보고된 이후 도내 누적 발생은 충주 19건, 제천 3건, 진천 1건 등 총 23건으로 늘었다.

전체 피해 면적은 5.8㏊이다.

농정당국은 발생 농가 반경 2㎞ 내에 있거나 역학관계가 확인된 과수원을 대상으로 정밀검사를 하는 한편 충주·제천·진천과 인접한 시·군의 예찰도 강화했다.

과수화상병은 주로 사과, 배 등 장미과 식물에서 발생하며 감염 시 식물의 잎, 꽃, 가지, 줄기, 과일 등이 붉은 갈색이나 검은색으로 변하며 마르는 증상이 나타난다.

최근 5년간 충북 내 과수화상병 발생 통계를 보면 2018년 35건 29.2㏊, 2019년 145건 88.9㏊, 2020년 506건 281㏊, 2021년 246건 97.1㏊, 지난해 103건 39.4㏊에 이른다.

jeonch@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
오래 머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