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사진 속 어제와 오늘] 교복 변천사 ②

송고시간2023-05-13 08:00

beta
세 줄 요약

우리나라 교복의 원조는 이화학당 여학생들의 치마저고리입니다.

이전과는 달리 학교별로 자율적으로 교복 디자인을 결정하게 돼 '패션'과 '개성'이 가미된 다양한 교복이 등장했습니다.

교복과 함께 한 학생들의 학교생활 변천사를 모아봤습니다.

요약 정보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줄인 '세 줄 요약' 기술을 사용합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과 함께 읽어야 합니다. 제공 = 연합뉴스&줌인터넷®
이 뉴스 공유하기
본문 글자 크기 조정

(서울=연합뉴스) 조보희 기자 = 우리나라 교복의 원조는 이화학당 여학생들의 치마저고리입니다. 남학생은 배재학당의 당복이 시초입니다. 일제 강점기부터 남학생은 일본의 남학생 교복인 가쿠란(검은색에 단추만 딱 박혀있는 형태의 교복)을 입기 시작해 1983년 교복 자율화가 도입되기 전까지 지속됐습니다. 이후 학생들은 자유복을 입었으나 청소년들의 탈선, 학생 지도의 어려움 등으로 1985년 교복이 부활했습니다. 이전과는 달리 학교별로 자율적으로 교복 디자인을 결정하게 돼 '패션'과 '개성'이 가미된 다양한 교복이 등장했습니다. 교복과 함께 한 학생들의 학교생활 변천사를 모아봤습니다.

한국 최초로 세워진 미션스쿨 배재학당 운동장에 서 있는 학생들. 1908년 [미국 남가주대 도서관 제공]

한국 최초로 세워진 미션스쿨 배재학당 운동장에 서 있는 학생들. 1908년 [미국 남가주대 도서관 제공]

서울에서 열린 육군가 콩쿠르대회에서 학생들이 군가를 합창하고 있다. 1955년 [임인식 제공]

서울에서 열린 육군가 콩쿠르대회에서 학생들이 군가를 합창하고 있다. 1955년 [임인식 제공]

경기여고생들의 타자 수업. 1958년 [연합뉴스 자료사진]

경기여고생들의 타자 수업. 1958년 [연합뉴스 자료사진]

국립철도고등학교 수업 모습. 1967년 [국가기록원 제공]

국립철도고등학교 수업 모습. 1967년 [국가기록원 제공]

숭문고등학교 학생들 물리 실습. 1977년 [국가기록원 제공]

숭문고등학교 학생들 물리 실습. 1977년 [국가기록원 제공]

카터 미국 대통령 환영식에 참석한 여학생들. 1979년[국가기록원 제공]

카터 미국 대통령 환영식에 참석한 여학생들. 1979년[국가기록원 제공]

교복 자율화 시절 하교하는 학생들. 1985년 [연합뉴스 자료사진]

교복 자율화 시절 하교하는 학생들. 1985년 [연합뉴스 자료사진]

교복 자율화 시절 새 교복 도입을 앞두고 열린 학생복 발표회. 1985년 [연합뉴스 자료사진]

교복 자율화 시절 새 교복 도입을 앞두고 열린 학생복 발표회. 1985년 [연합뉴스 자료사진]

앙드레 김이 디자인한 교복을 입은 용인 외고 학생들. 2005년 [연합뉴스 자료사진]

앙드레 김이 디자인한 교복을 입은 용인 외고 학생들. 2005년 [연합뉴스 자료사진]

졸업식에 참석한 서울 국악고 학생들. 2010년 [연합뉴스 자료사진]

졸업식에 참석한 서울 국악고 학생들. 2010년 [연합뉴스 자료사진]

선배들의 수능 고득점을 응원하는 경복고 학생들. 2015년 [연합뉴스 자료사진]

선배들의 수능 고득점을 응원하는 경복고 학생들. 2015년 [연합뉴스 자료사진]

국립대전현충원에서 졸업사진을 찍고 있는 고3 학생들. 2017년 [연합뉴스 자료사진]

국립대전현충원에서 졸업사진을 찍고 있는 고3 학생들. 2017년 [연합뉴스 자료사진]

경북 예천 대창중학교 학생들의 한복 교복. 2020년 [연합뉴스 자료사진]

경북 예천 대창중학교 학생들의 한복 교복. 2020년 [연합뉴스 자료사진]

jobo@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
오래 머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