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한국기술교육대 연구팀, '다방향 초점·줌 기능 렌즈' 개발

송고시간2023-04-04 10:45

beta
세 줄 요약

한국기술교육대학교는 에너지신소재화학공학부 배진우 교수 연구팀이 낮은 전압으로도 렌즈의 형상을 다양하게 변화시켜 자유로운 초점 조절이 가능한 'PVC 고분자 젤 기반 적응형 렌즈'를 개발했다고 4일 밝혔다.

다방향 초점 조절과 줌 기능이 동시에 가능해 자동초점(AF)뿐만 아니라 손 떨림 보정(OIS)까지 단 한 층의 렌즈만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스마트폰 카메라, 광학 센서 등 여러 분야에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배 교수는 "앞으로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단 한 장의 렌즈만으로 AF와 OIS를 구현해, 최첨단 광학 분야에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요약 정보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줄인 '세 줄 요약' 기술을 사용합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과 함께 읽어야 합니다. 제공 = 연합뉴스&줌인터넷®
이 뉴스 공유하기
본문 글자 크기 조정
연구성과가 실린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터리얼즈 테크놀로지스' 표지
연구성과가 실린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터리얼즈 테크놀로지스' 표지

[한국기술교육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천안=연합뉴스) 유의주 기자 = 한국기술교육대학교는 에너지신소재화학공학부 배진우 교수 연구팀이 낮은 전압으로도 렌즈의 형상을 다양하게 변화시켜 자유로운 초점 조절이 가능한 'PVC 고분자 젤 기반 적응형 렌즈'를 개발했다고 4일 밝혔다.

적응형 렌즈는 고체 렌즈와 달리 형상을 자유롭게 바꾸고 초점거리를 유연하게 조절할 수 있어 광학 분야에서 활용범위가 무궁무진하다.

다만, 기존 연구들은 형태를 바꾸는 데 필요한 구동 전압이 상대적으로 높으며 단순히 초점거리를 조절하는 수준의 변형만이 가능했다.

연구팀은 렌즈를 구성하는 전극을 4개의 독립된 전극으로 분할해 더 복잡한 변형을 유도했으며, 넓은 범위의 초점거리를 구현했을 뿐만 아니라 수직·수평·대각선 방향의 초점 조절에 성공했다.

다방향 초점 조절과 줌 기능이 동시에 가능해 자동초점(AF)뿐만 아니라 손 떨림 보정(OIS)까지 단 한 층의 렌즈만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스마트폰 카메라, 광학 센서 등 여러 분야에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배 교수는 "앞으로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단 한 장의 렌즈만으로 AF와 OIS를 구현해, 최첨단 광학 분야에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yej@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
오래 머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