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강원 5곳서 동시다발 산불…화천 야간 체제 돌입 '진화 사투'(종합2보)

송고시간2023-03-30 19:10

beta

강원 전역에 건조주의보가 내려진 30일 도내 곳곳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산불이 발생하면서 횡성·양구·평창·강릉에서는 주불 진화가 완료됐으며, 강한 바람이 불어 진화에 난항을 겪고 있는 화천은 야간 진화체제에 돌입했다.

산림 당국은 날이 저물면서 화천 지역에 헬기 17대 중 일부를 철수시키고, 진화대원 등 387명을 투입해 방화선을 구축하고 있다.

산림 당국 등에 따르면 이날 낮 12시 47분께 화천군 화천읍 중리에서 산불이 났다.

요약 정보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줄인 '세 줄 요약' 기술을 사용합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과 함께 읽어야 합니다. 제공 = 연합뉴스&줌인터넷®

진화율 50%·화선 2.2㎞ 남아…380여명 투입해 방화선 구축

화천 산불..헬기 투입 진화 사투
화천 산불..헬기 투입 진화 사투

(화천=연합뉴스) 30일 강원 화천군 화천읍 중리에서 산불이 난 가운데 헬기가 진화작업을 벌이고 있다. 2023.3.30 [화천군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hak@yna.co.kr

(춘천=연합뉴스) 강태현 기자 = 강원 전역에 건조주의보가 내려진 30일 도내 곳곳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산불이 발생하면서 횡성·양구·평창·강릉에서는 주불 진화가 완료됐으며, 강한 바람이 불어 진화에 난항을 겪고 있는 화천은 야간 진화체제에 돌입했다.

산림 당국은 날이 저물면서 화천 지역에 헬기 17대 중 일부를 철수시키고, 진화대원 등 387명을 투입해 방화선을 구축하고 있다.

불이 난 지점에는 순간풍속 초속 10m의 바람이 불어 진화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날 오후 6시 기준 진화율은 50%를 보였다.

총 화선은 4.3㎞에 달했으나 현재 2.2㎞가량 남아 있으며, 피해 면적(산불영향 구역 면적)은 62㏊(62만㎡)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

민가 등으로 불이 번지지는 않아 인명피해는 없었다.

화천 산불...헬기 투입 진화
화천 산불...헬기 투입 진화

(화천=연합뉴스) 30일 강원 화천군 화천읍 중리에서 산불이 난 가운데 불을 끄기 위해 헬기가 진화작업을 벌이고 있다. 2023.3.30 [화천군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hak@yna.co.kr

산림 당국 등에 따르면 이날 낮 12시 47분께 화천군 화천읍 중리에서 산불이 났다.

산림 당국은 산불이 확산하자 이날 오후 2시 48분을 기해 산불 2단계를 발령했다.

산불 2단계는 평균 풍속 초속 7m 이상, 예상 피해 면적 30∼100㏊ 미만, 진화 시간이 24시간 미만으로 예상될 때 내려진다.

산림 당국은 이튿날 날이 밝는 대로 헬기와 인력을 투입해 주불 진화에 나설 방침이다.

건조특보 속 횡성 산불…진화 중
건조특보 속 횡성 산불…진화 중

(횡성=연합뉴스) 강원 전역에 건조주의보가 내려진 30일 오후 4시 7분께 횡성군 청일면 신대리에서도 산불이 나 산림 당국 등이 진화작업을 벌이고 있다. 2023.3.30 [횡성소방서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taetae@yna.co.kr

같은 날 오후 4시 7분께 횡성군 청일면 신대리에서도 산불이 나 2시간여 만에 꺼졌다.

산림 당국은 소방 당국 등과 헬기 2대, 장비 11대, 인력 75명을 동원해 이날 오후 6시 14분께 주불 진화를 마치고 남은 불씨를 끄고 있다.

산림 당국은 불을 완전히 끄는 대로 피해 면적과 원인을 조사할 예정이다.

앞서 이날 오후 3시 14분께 양구군 해안면 이현리에서도 산불이 나 50여분 만에 꺼졌다.

평창 진부면 전날 발생한 곳에서 또 산불
평창 진부면 전날 발생한 곳에서 또 산불

[연합뉴스 자료사진]

오후 2시 18분께에는 평창군 진부면 인근 야산에서 불이 나 약 50분 만에 꺼졌다.

불이 난 곳은 전날 산불이 난 장소와 같은 곳으로 알려져 산림 당국은 재발화 여부와 원인 등을 조사하고 있다.

같은 날 오전 11시 59분께 강릉시 연곡면 동덕리에서도 산불이 나 이날 오후 1시 17분께 불을 완전히 껐다.

산림 당국은 원인과 피해 규모 등을 조사하고 있다.

현재 도내 전역에는 건조주의보가 내려져 있다.

taetae@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
오래 머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