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합계출산율 높아도 인구는 준다…적자 진입 연령 56세→61세

송고시간2023-03-27 12:00

beta

출산율이 높은 지역에서도 인구 규모는 줄어들 수 있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인구 고령화가 급속도로 진행되는 가운데 고령층 노동이 늘면서 생애 주기 중 적자 진입 연령은 최근 10년 새 61세까지 올라갔다.

통계청이 분석한 1인당 생애 주기 적자(2010∼2020년) 그래프에 따르면 고령층의 노동소득 적자 구간 재진입 연령은 지난 2010년 56세에서 2020년 61세로 올라갔다.

요약 정보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줄인 '세 줄 요약' 기술을 사용합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과 함께 읽어야 합니다. 제공 = 연합뉴스&줌인터넷®

수도권 청년 취업자 비중 20년간 50.8%→56.4%

지하철 종로5가역에서 한 노인이 계단을 오르고 있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지하철 종로5가역에서 한 노인이 계단을 오르고 있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세종=연합뉴스) 곽민서 기자 = 출산율이 높은 지역에서도 인구 규모는 줄어들 수 있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인구 고령화가 급속도로 진행되는 가운데 고령층 노동이 늘면서 생애 주기 중 적자 진입 연령은 최근 10년 새 61세까지 올라갔다.

27일 통계청이 발간한 '통계플러스 봄호'에 따르면 지난 2000∼2020년 시군구 단위 평균 합계출산율이 상위 25% 이내인 지역 가운데 인구 규모가 감소한 곳은 총 36곳으로 집계됐다.

연구를 진행한 장인수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부연구위원은 "합계출산율이 높아도 사망자 수가 많아서 결과적으로 인구가 증가하지 못한 것"이라며 "그만큼 인구 고령화가 심화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해당 지역은 상대적으로 15∼49세 여성 인구 수가 적기 때문에 다른 지역과 출생아 수가 동일하더라도 출산율이 높게 나타난 측면도 있다"며 "출산율만으로는 지역 인구 동태를 제대로 파악하기가 어렵다"고 진단했다.

1인당 생애주기 적자
1인당 생애주기 적자

[통계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생애 주기 중 노동 기간도 인구 고령화의 영향으로 점점 더 길어지는 추세다.

통계청이 분석한 1인당 생애 주기 적자(2010∼2020년) 그래프에 따르면 고령층의 노동소득 적자 구간 재진입 연령은 지난 2010년 56세에서 2020년 61세로 올라갔다.

반면 이 기간 흑자 구간 진입 연령은 27∼28세로 큰 변동이 없었다.

연령당 생애주기 적자 그래프는 노동소득 없이 공공 이전·민간 이전을 통해 소비가 이뤄지는 1차 적자 구간(유년기)과 노동소득이 발생해 소득이 소비보다 많아지는 흑자 구간, 이후 노동소득이 점차 줄면서 다시 정부의 사회보장제도 혜택 등을 통해 소비가 이뤄지는 2차 적자 구간(노년기)으로 나뉜다.

이는 과거보다 건강 수준이 양호한 고령층이 노동시장에 오랜 기간 머물며 노동을 이어간 영향으로 풀이된다.

이와 함께 청년 인구의 수도권 집중도는 더욱 심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2000∼2021년 청년 취업자의 수도권 분포 비중은 50.8%에서 56.4%로 5.6%포인트(p) 올라간 반면, 비수도권의 청년 취업자 비중은 43.6%로 내려갔다.

통계청은 "고도의 디지털 심화 산업을 중심으로 수도권으로의 사업체 수와 종사자 수의 집중 현상이 일관성 있게 나타났다"고 분석했다.

mskwak@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
오래 머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