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고 49층·최대 3천550가구…서울 도심복합사업 밑그림 나왔다
송고시간2023-03-27 11:02
증산4·신길2지구 등 기본설계공모 당선작 선정
(서울=연합뉴스) 박초롱 기자 = 역세권과 저층 주거지 등을 고밀 개발하는 도심 공공주택 복합사업(도심복합사업)의 첫 밑그림이 나왔다.
국토교통부는 서울 6개 도심복합사업 선도지구의 기본설계공모 당선작을 선정했다고 27일 밝혔다.
기본설계공모 대상 지구는 ▲ 증산4 ▲ 신길2 ▲ 방학역 ▲ 연신내역 ▲ 쌍문역 동측 ▲ 쌍문역 서측이다.
이들 지구는 2021년 2월 도심복합사업이 도입되고 같은 해 12월 최초로 지정된 지구다. 도심복삽사업 속도가 가장 빠른 곳으로 볼 수 있다.
현재 전국 57개 도심복합사업 후보지 중 서울 6곳과 서울 외 지역 3곳 등 9곳의 지구 지정이 완료된 상태다.
이번 설계공모에서는 민·관 전문가로 구성된 운영위원이 '거주와 비거주의 공존', '작고 단일한 도시(Small Compact city)' 등의 개발 콘셉트를 제시했다.
연신내역 지구에는 최고 49층, 총 392가구의 주거복합단지가 들어선다.
증산 4지구 1블록은 최고 40층, 2천449가구의 대단지다. 2블록은 최고 45층, 1천101가구다. 합쳐서 3천550가구가 공급된다.
신길 2지구에도 최고 45층, 총 1천332가구의 대단지가 생긴다.
6개 당선작의 주요 내용은 이날부터 도심 공공주택 복합사업 설계공모 홈페이지(www.urban-phc.com)에서 확인할 수 있다.
설계 공모 이후에는 사업 승인, 보상, 착공, 준공 및 입주 절차가 이뤄지게 된다.
국토부는 밑그림이 완료된 6개 선도지구가 주민 선호를 반영한 시공사를 선정하고 사업계획승인 신청이 신속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사업계획승인권자인 서울시 및 사업자인 한국토지주택공사(LH)와 협력하겠다고 밝혔다.
박재순 국토부 공공주택추진단장은 "낙후지역·지방 노후 주거지 등 민간개발이 어려운 지역을 중심으로 수시로 지자체 제안을 받아 신규 도심복합사업 후보지를 발굴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표] 서울 도심 공공주택 복합사업 선도지구 기본설계 공모 당선작
유형 | 복합지구명 | 공급호수 | 당선작 | |
작품명 | 업체명 | |||
역세권 | 은평구 연신내역 | 392 | 삼중의 조화 triple Harrmony | 한결건축+위더스건축 / 디엔에이엔지니어링 |
도봉구 방학역 | 424 | 주변 동네흐름을 연결하는 마을풍경 |
금성건축 + 어반인사이트 / 보통과 이상 |
|
도봉구 쌍문역 동측 |
639 | Wave to City : 새로운 도시를 향한 움직임 | 이어담건축+우재건축 /도시건축이음 | |
도봉구 쌍문역 서측 |
1,428 | 보행 일상권을 확장하는‘다층적 가로 네트워크’ | 유선엔지니어링 | |
저층주거지 | 은평구 증산4 | 3,550 | (1블록) 오래된 미래를 담은 시루뫼 마을 |
디에이건축+범도시건축 / 정목엔지니어링 |
(2블록) URBAN PLATFORM 도시와 공존하는 마을 | 강남건축+재우건축 | |||
영등포구 신길2 | 1,332 | 가고싶고, 걷고싶고, 살고싶은“그린 인프라시티” | 해안건축 |
※ 자료=국토교통부 (서울=연합뉴스)
chopark@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2023/03/27 11:02 송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