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한식날 태조 이성계 건원릉 억새 자른다…관람객 참여 재개

송고시간2023-03-27 09:05

beta
세 줄 요약

한식(寒食)을 맞아 조선 태조 이성계(재위 1392∼1398)의 무덤인 건원릉에서 억새를 자르는 의식이 다음 달 거행된다.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는 4월 6일 한식에 경기 구리 동구릉 내 태조 건원릉에서 봉분을 덮고 있는 억새를 자르는 '청완 예초의'를 치른다고 27일 밝혔다.

조선왕조실록 등에 의하면 태조의 유언에 따라 그의 고향인 함경도 함흥의 억새를 옮겨와 봉분을 조성했고, 매년 한식이 되면 풀 베기를 했다고 전한다.

요약 정보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줄인 '세 줄 요약' 기술을 사용합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과 함께 읽어야 합니다. 제공 = 연합뉴스&줌인터넷®
이 뉴스 공유하기
본문 글자 크기 조정
지난해 예초의 거행 모습
지난해 예초의 거행 모습

[문화재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김예나 기자 = 한식(寒食)을 맞아 조선 태조 이성계(재위 1392∼1398)의 무덤인 건원릉에서 억새를 자르는 의식이 다음 달 거행된다.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는 4월 6일 한식에 경기 구리 동구릉 내 태조 건원릉에서 봉분을 덮고 있는 억새를 자르는 '청완 예초의'를 치른다고 27일 밝혔다.

건원릉은 조선 왕릉 가운데 유일하게 봉분이 억새로 덮여 있다.

조선왕조실록 등에 의하면 태조의 유언에 따라 그의 고향인 함경도 함흥의 억새를 옮겨와 봉분을 조성했고, 매년 한식이 되면 풀 베기를 했다고 전한다.

문화재청은 조선왕릉이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이듬해인 2010년부터 매년 한식날에 억새를 베는 의례를 하고 있다.

청완 예초의는 봉분의 억새를 베는 예초의, 1년간 자란 억새를 제거했음을 알리는 일종의 제사인 고유제 등으로 이뤄진다. 제사 후에는 음복 행사도 열린다.

그동안은 코로나19 영향으로 의식을 간소하게 해왔으나, 올해는 관람객도 참여할 수 있다.

고유제에 직접 참여해 체험하고 싶은 사람은 이달 28일부터 4월 4일까지 조선왕릉 누리집(http://royal.cha.go.kr)에서 신청하면 된다. 참여할 수 있는 인원은 최대 6명(성인)이다.

예초 완료 모습
예초 완료 모습

[문화재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yes@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
오래 머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