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천주교 서울대교구, 김수환 추기경 등 성직자 3명 시복시성 추진

송고시간2023-03-23 19:56

beta
세 줄 요약

천주교 서울대교구는 바르텔미 브뤼기에르 주교(1792∼1835)와 방유룡(1900∼1986) 신부, 김수환(1922∼2009) 추기경의 시복·시성을 추진한다고 23일 밝혔다.

정 대주교는 이날 서울 중구 명동 소재 서울대교구청에서 열린 시복시성위원회 회의에서 "정식으로 여러 절차를 밟아야 하고 오랜 노력과 기도가 필요한 여정이지만, 세 분의 시복시성을 위해 이 시간부터 추진해 나가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세 후보자의 덕행 등에 대해 충분히 검토한 후 한국교회와 신자들, 수도회와 회원들의 영적 성장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는 판단에 따라 세 후보자에 대한 시복·시성 추진을 결심했다고 서울대교구 측은 배경을 설명했다.

요약 정보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줄인 '세 줄 요약' 기술을 사용합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과 함께 읽어야 합니다. 제공 = 연합뉴스&줌인터넷®
이 뉴스 공유하기
본문 글자 크기 조정
김수환 추기경
김수환 추기경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이세원 기자 = 천주교 서울대교구는 바르텔미 브뤼기에르 주교(1792∼1835)와 방유룡(1900∼1986) 신부, 김수환(1922∼2009) 추기경의 시복·시성을 추진한다고 23일 밝혔다.

시복·시성은 가톨릭교회가 순교자나 성덕이 높은 사람을 사후에 복자(福者)나 성인(聖人)의 품위에 공식적으로 올리는 것을 의미한다. 복자는 성인의 전 단계로 분류된다.

천주교 서울대교구장인 정순택 대주교는 이날 서울 중구 명동 소재 서울대교구청에서 열린 시복시성위원회 회의에서 "정식으로 여러 절차를 밟아야 하고 오랜 노력과 기도가 필요한 여정이지만, 세 분의 시복시성을 위해 이 시간부터 추진해 나가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세 후보자의 덕행 등에 대해 충분히 검토한 후 한국교회와 신자들, 수도회와 회원들의 영적 성장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는 판단에 따라 세 후보자에 대한 시복·시성 추진을 결심했다고 서울대교구 측은 배경을 설명했다.

시복·시성은 후보자의 삶과 성덕을 파악할 수 있는 증거와 자료를 모아 엄격한 심사를 토대로 진행하며 최종 결정은 교황청이 내린다.

브뤼기에르 주교 초상화
브뤼기에르 주교 초상화

[천주교 서울대교구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브뤼기에르 주교는 1831년 교황청이 조선대목구를 설정할 때 초대 조선대목구장으로 임명된 인물이다.

하지만 선교활동이 엄격히 금지된 중국을 관통하는 데 3년이 소요됐고 그는 조선 입국 직전 중국 네이멍구(內蒙古)자치구 지역인 마가자(馬架子)의 한 교우촌에서 병고로 선종했다.

방 신부는 한국순교복자 가족 수도회의 창설자이며 수녀회(1946년), 성직수도회(1953년), 재속복자회(제3회, 1957년), 빨마수녀회(1962년)를 차례로 설립했다.

방유룡 신부
방유룡 신부

[한국순교복자성직수도회·천주교서울대교구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김 추기경은 1968년 제11대 서울대교구장에 착좌한 후 1998년 퇴임 때까지 30년간 교구장으로 사목했다. 한국 사회의 인권 향상과 민주주의 정착을 위해 헌신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한국 천주교회에는 한국인 첫 사제인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1821∼1846)를 비롯한 103명의 성인과 124명의 복자가 있다.

sewonlee@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
오래 머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