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조선시대 혜성 관측 기록 '유네스코 세계기록 유산' 등재 추진

송고시간2023-03-23 10:19

beta

조선 시대 기록된 핼리혜성을 포함한 3건의 혜성 관측 사료가 유네스코(UNESCO)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될지 주목된다.

한국천문연구원은 성변측후단자(星變測候單子)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위한 비전 선포식과 학술대회를 개최했다고 23일 밝혔다.

이형목 등재 추진위원장은 "성변측후단자의 상세한 기록·그림은 조선시대 밤하늘을 관측한 생생한 현장 기록으로, 연구 가치가 높은 학술자원이자 역사적으로 중요한 사료"라고 말했다.

요약 정보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줄인 '세 줄 요약' 기술을 사용합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과 함께 읽어야 합니다. 제공 = 연합뉴스&줌인터넷®
'성변측후단자'에 실린 1759년 핼리혜성 관측 기록
'성변측후단자'에 실린 1759년 핼리혜성 관측 기록

[한국천문연구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대전=연합뉴스) 김준호 기자 = 조선 시대 기록된 핼리혜성을 포함한 3건의 혜성 관측 사료가 유네스코(UNESCO)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될지 주목된다.

한국천문연구원은 성변측후단자(星變測候單子)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위한 비전 선포식과 학술대회를 개최했다고 23일 밝혔다.

성변측후단자는 조선시대 관상감이 작성한 천문관측 국가 공공 기록물이다.

혜성처럼 천체 위치·밝기가 변하는 것을 성변이라 하고, 이러한 천체의 변화를 매일 관측한 기록물이 성변측후단자이다.

성변측후단자 내용은 1759년의 핼리혜성 관측 기록으로, 왕실 산하 관청이 관측한 자료로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됐다.

총 35명의 천문 관료가 25일간 핼리혜성을 관측해 핼리혜성의 이동 경로, 위치, 밝기 등을 기록했다. 조선의 천문학 수준을 보여줄 수 있는 귀중한 기록유산으로 평가받는다고 천문연 측은 설명했다.

천문연은 성변측후단자를 보관 중인 연세대학교와 관련 학회인 한국천문학회, 한국우주과학회와 함께 2025년 세계기록문화유산 등재 신청을 목표로 학술대회·세미나·홍보 활동을 이어갈 계획이다.

이형목 등재 추진위원장은 "성변측후단자의 상세한 기록·그림은 조선시대 밤하늘을 관측한 생생한 현장 기록으로, 연구 가치가 높은 학술자원이자 역사적으로 중요한 사료"라고 말했다.

kjunho@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
오래 머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