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81∼1904년 한일 외교문서로 본 울릉도·독도 인식과 대응
송고시간2023-03-22 10:58
동북아역사재단, '일제의 독도·울릉도 침탈 자료집' 발간
(서울=연합뉴스) 김예나 기자 = 근대 시기 조선과 일본이 울릉도, 독도 문제와 관련해 정부 차원에서 주고받은 외교문서를 정리한 자료집이 발간됐다.
동북아역사재단은 '일제의 독도·울릉도 침탈 자료집(3): 조선과 일본 왕복 외교 문서'를 발간했다고 22일 밝혔다.
재단에 따르면 울릉도는 근대기 개항 이후 정부 차원에서 개항장으로 지정된 적이 없었다.
특히 일본인은 17세기 말 두 나라 간 울릉도를 둘러싼 논쟁 이후 도항이 엄격히 금지돼 있었고 조선 정부는 이를 어긴 채 울릉도로 건너온 이들에 대한 단속, 처벌을 요구하기도 했다.
자료집은 이런 상황을 토대로 1881년부터 1904년까지 한일 정부가 주고받은 울릉도 관계 외교문서 176건을 다뤘다.
1885년 초 조선 정부가 일본에 파견한 사절 관련 문서를 비롯해 울릉도 목재 벌목과 처분을 둘러싼 교섭, 울릉도 체류 일본인 조사를 위한 공동조사단 파견, 일본의 울릉도 경찰주재소 설치와 대한제국의 철폐 요구 등을 다룬 다양한 자료가 실려 있다.
한문과 옛 일본어로 돼 있는 문서를 읽기 쉬운 우리말로 옮겼다. 울릉도 관련 외교문서 전문을 우리말로 번역한 것으로 처음이라고 재단은 전했다.
자료집은 근대 시기 울릉도와 독도를 둘러싼 한일 양국의 인식과 대응, 울릉도 개척민의 생활과 경제활동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재단 관계자는 "대한제국 정부에서 울릉도와 독도에 울도군을 설치하고 울도 군수가 독도를 관할하도록 규정한 1900년 칙령 제41호가 제정되던 시기의 한일관계 흐름을 파악하는 데도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yes@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2023/03/22 10:58 송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