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물 쓰기도 먹기도 겁나네…상수도료 17년만에 최대폭 상승

송고시간2023-03-22 06:06

beta

공공요금 인상으로 상수도 요금 물가가 17년 만에 최대 폭으로 상승했다.

22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달 상수도료 물가 지수는 109.50(2020년=100)으로 1년 전보다 4.6% 상승했다.

2006년 1월(6.1%) 이후 17년 1개월 만에 최대 상승 폭이다.

요약 정보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줄인 '세 줄 요약' 기술을 사용합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과 함께 읽어야 합니다. 제공 = 연합뉴스&줌인터넷®

올해 서울·대구 등에서 요금 인상…생수 가격 한달새 7.1%↑

수돗물
수돗물

[촬영 김재홍]

(세종=연합뉴스) 박원희 기자 = 공공요금 인상으로 상수도 요금 물가가 17년 만에 최대 폭으로 상승했다.

생수 가격은 한 달 새 7% 넘게 상승해 11년여만에 가장 크게 오르는 등 물 가격도 고공행진 중이다.

22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달 상수도료 물가 지수는 109.50(2020년=100)으로 1년 전보다 4.6% 상승했다.

이는 2006년 1월(6.1%) 이후 17년 1개월 만에 최대 상승 폭이다.

[그래픽] 상수도료 물가상승률 추이
[그래픽] 상수도료 물가상승률 추이

(서울=연합뉴스) 원형민 기자 = circlemin@yna.co.kr
페이스북 tuney.kr/LeYN1 트위터 @yonhap_graphics

지방자치단체들이 생산 단가 상승 등에 따른 요금 현실화를 이유로 잇따라 상수도 요금을 인상한 결과다.

서울시는 지난 1월부터 가정용 상수도 사용요금을 1㎥당 480원에서 580원으로 20.8% 인상했다.

욕탕용은 440원에서 500원으로, 그 외 일반용은 1천150원에서 1천270원으로 각각 올렸다.

대구시는 지난 1월 납기분부터 가정용 상수도 요금을 1㎥당 580원에서 630원으로 8.6% 올렸다.

지난 1월 경기도 성남시도 약 18% 인상하는 등 지자체발 물가 상승 요인이 이어지는 모습이다.

공공요금 인상에 지난달 전기·가스·수도 물가는 1년 전 대비 28.4% 상승해 관련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10년 이후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지난달엔 전기·가스요금이 동결됐지만, 수도 요금 인상 여파로 지난 1월의 상승률(28.3%)을 웃돈 것이다.

[그래픽] 전기·가스·수도 소비자물가 추이
[그래픽] 전기·가스·수도 소비자물가 추이

(서울=연합뉴스) 원형민 기자 = 6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2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0.38(2020년=100)로 작년 같은 달보다 4.8% 올랐다.
전기·가스·수도는 28.4% 올라 관련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10년 이후 최고 상승률을 기록했다.
circlemin@yna.co.kr
페이스북 tuney.kr/LeYN1 트위터 @yonhap_graphics

물을 마시는 것에 대한 부담도 커지고 있다.

지난달 가공식품 중 생수의 물가 지수는 109.24로 한 달 새 7.1% 올랐다. 이는 2011년 7월(9.5%) 이후 11년 7개월 만에 최고 상승률이다.

페트병 등의 재룟값 인상과 인건비 상승을 이유로 생수 출고가가 오른 데 따른 결과로 풀이된다.

제주도개발공사는 제주삼다수의 출고가를 지난달 평균 9.8% 인상하며 5년 만에 가격을 조정했다. 제주삼다수는 국내 생수 시장에서 점유율 1위를 차지하는 제품이다.

'생수 1위' 삼다수, 내달 1일부터 출고가 평균 9.8% 인상
'생수 1위' 삼다수, 내달 1일부터 출고가 평균 9.8% 인상

(서울=연합뉴스) 신현우 기자 = 국내 생수 시장 점유율 1위인 제주삼다수의 가격이 인상된다. 25일 식품업계에 따르면 제주도개발공사는 내달 1일부터 삼다수 출고가를 평균 9.8% 올린다. 이는 2018년 이후 5년 만의 가격 조정으로 인건비 상승, 페트병 등 재룟값 상승 등에 따른 것이다.
사진은 이날 오후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 진열된 삼다수. 2023.1.25 nowwego@yna.co.kr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세는 석유류 가격 하락 등에 둔화하는 모습이지만, 생수를 포함한 전체 가공식품 물가는 원자재 가격 상승 등이 시차를 두고 반영되면서 오름세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달 가공식품 물가는 1년 전보다 10.4% 올라 전월(10.3%)보다 상승 폭을 확대했다. 이는 2009년 4월(11.1%) 이후 최대 상승 폭이다.

encounter24@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
오래 머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