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코스피, 은행불안 진정에 장초반 강세…환율도 하락 출발(종합)

송고시간2023-03-21 09:34

beta

코스피가 21일 은행권 불안이 진정된 영향으로 장 초반 2,390대에서 강세를 보이고 있다.

이날 오전 9시 16분 현재 코스피는 전 거래일보다 17.21포인트(0.72%) 오른 2,396.41을 가리키고 있다.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 종가보다 4.9원 내린 1,305.2원에 출발한 뒤 장 초반 1,300원대 초반에서 오르내리고 있다.

요약 정보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줄인 '세 줄 요약' 기술을 사용합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과 함께 읽어야 합니다. 제공 = 연합뉴스&줌인터넷®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송은경 기자 = 코스피가 21일 은행권 불안이 진정된 영향으로 장 초반 2,390대에서 강세를 보이고 있다.

이날 오전 9시 16분 현재 코스피는 전 거래일보다 17.21포인트(0.72%) 오른 2,396.41을 가리키고 있다.

지수는 전장보다 17.34포인트(0.73%) 오른 2,396.54에 개장한 뒤 2,390대에서 등락하고 있다.

이날 유가증권시장에서 개인과 기관은 각각 330억원, 47억원어치 주식을 순매수하고 있다. 외국인은 374억원어치를 순매도 중이다.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 종가보다 4.9원 내린 1,305.2원에 출발한 뒤 장 초반 1,300원대 초반에서 오르내리고 있다.

간밤 뉴욕증시는 스위스 금융그룹 UBS의 크레디트스위스(CS) 인수 소식에 은행권 불안이 진정되며 반등했다.

20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20% 올랐고,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0.89% 상승했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종합지수는 0.39% 오른 채 마감했다.

스위스 정부의 지원 아래 크레디트스위스를 인수한 UBS 주가도 3.3% 상승했으며, 유럽 증시도 하락 출발했다가 상승으로 전환해 반등 마감했다.

전액 상각 처리된 크레디트스위스의 160억 스위스프랑(22조6천억여원) 규모 신종자본증권(AT1) 문제 등 불씨가 남았지만, 시장은 이번 사태가 시스템 위기로 번질 가능성은 작게 보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21∼22일(현지시간) 열리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앞두고 금리 인상 폭 전망에 따라 시장의 변동성이 자극될 수도 있다.

한지영 키움증권[039490] 연구원은 "FOMC 경계심리는 상존하겠으나, CS발(發) 위기가 일단락되고 미국 중소형 은행들의 불안이 완화되는 등 대외 호재성 재료에 힘입어 금일 국내 증시는 상승 흐름을 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유가증권시장 시가총액 상위권에서는 대부분의 종목이 강세를 보이고 있다.

삼성전자[005930]가 전장보다 0.17% 상승해 강보합세를 보이는 가운데 LG에너지솔루션[373220](1.47%), 삼성바이오로직스[207940](0.37%), 삼성SDI[006400](1.82%), LG화학[051910](1.02%), 현대차[005380](0.80%), 기아[000270](1.41%) 등이 오르고 있다.

반면 SK하이닉스[000660](-0.96%)와 네이버(-0.25%) 등은 하락하고 있다.

업종별로도 대부분의 업종이 오르는 가운데 특히 비금속광물(3.43%), 운수장비(1.31%), 보험(1.18%), 철강및금속(1.00%) 등이 두드러지게 상승 중이다.

같은 시각 코스닥지수는 전날보다 4.47포인트(0.56%) 상승한 806.67이다.

지수는 전장보다 4.31포인트(0.54%) 오른 806.51에 출발한 뒤 805∼809 사이에서 움직이고 있다.

코스닥시장에서는 개인이 1천463억원어치 주식을 순매수하며 지수 상승을 견인 중이다.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1천345억원, 28억원어치 매도 우위다.

시총 상위권에서는 셀트리온헬스케어[091990](0.15%), 엘앤에프[066970](2.90%), HLB[028300](2.71%), 셀트리온제약[068760](0.91%), 카카오게임즈[293490](1.98%) 등이 강세 내지 강보합세를 보이고 있으며, 전날 전현직 임직원들의 압수수색 악재에도 상승한 에코프로비엠[247540](-0.74%), 에코프로[086520](-0.37%)는 약보합권에서 등락 중이다.

norae@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
오래 머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