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낙농가 평균 부채 5억원…"빚 문제가 가장 고민"

송고시간2023-03-19 07:00

beta

낙농가들이 부채 압박으로 목장 경영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한국낙농육우협회 낙농정책연구소에 따르면 지난해 10월 28일∼12월 23일 낙농가 700호를 대상으로 실시한 낙농경영실태조사 결과 목장 경영에서 부채 문제가 가장 어렵다는 응답이 44.4%로 가장 많았다.

낙농가 호당 평균 부채액은 5억1천262만원으로 조사됐다.

요약 정보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줄인 '세 줄 요약' 기술을 사용합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과 함께 읽어야 합니다. 제공 = 연합뉴스&줌인터넷®

2022년 낙농경영실태조사…69%는 "낙농업에 불만족"

※ 기사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한국낙농육우협회 홈페이지 화면 캡처. 재판매 및 DB금지]

※ 기사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한국낙농육우협회 홈페이지 화면 캡처. 재판매 및 DB금지]

(서울=연합뉴스) 신선미 기자 = 낙농가들이 부채 압박으로 목장 경영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낙농가 10곳 중 4∼5곳은 목장 경영에서 부채 문제가 가장 힘들다고 답했다.

19일 한국낙농육우협회 낙농정책연구소에 따르면 지난해 10월 28일∼12월 23일 낙농가 700호를 대상으로 실시한 낙농경영실태조사 결과 목장 경영에서 부채 문제가 가장 어렵다는 응답이 44.4%로 가장 많았다.

이어 악취, 수질 오염 등 환경문제(21.9%), 여가 시간 부족(6.9%), 후계자 문제(5.1%)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직전인 2021년 조사 때는 가장 어려운 점으로 환경 문제(32.6%)가 꼽혔으나, 부채 문제가 어렵다는 응답이 전년(31.4%)보다 13.0%포인트 상승하며 순위가 바뀌었다.

낙농가 호당 평균 부채액은 5억1천262만원으로 조사됐다.

평균 부채액은 2019년 3억6천706만원으로 나타났으나, 3년 만에 약 40% 증가했다.

부채 규모별로 보면 4억원 이상이 49.5%로 가장 많았고 2억∼4억원(30.4%), 1억∼2억원(10.9%), 5천만∼1억원(4.3%), 1천만∼5천만원(4.1%), 1천만원 미만(0.8%) 등의 순이었다.

부채 발생의 원인으로는 시설 투자, 쿼터 매입, 사료 구입 등이 꼽혔다.

[낙농경영실태조사 보고서 화면 캡처. 재판매 및 DB금지]

[낙농경영실태조사 보고서 화면 캡처. 재판매 및 DB금지]

지난해 낙농가 대상 조사에서 낙농업에 '만족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69.4%로, '만족한다'는 응답(30.6%)보다 높았다.

2021년에는 '만족한다'가 53.2%로, '만족하지 않는다'(46.8%)보다 높았다.

낙농업에 만족하지 못하는 이유로는 낮은 보수, 부채 증가 등 금전 문제(42.3%), 장래성 불투명(28.9%), 고된 노동(25.7%) 등이 꼽혔다.

sun@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
댓글 많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