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조선신보 "강제징용 해법, 피해자 존엄 짓밟고 日책임 외면"

송고시간2023-03-09 09:35

beta

정부의 일제 강제징용 해법 발표에 대해 북한 관영매체가 아직 공식 논평하지 않은 가운데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조선총련) 기관지 조선신보가 남측 동향을 소개하며 비판적 입장을 내놨다.

신문은 "이는 강제징용 피해자들의 요구를 무시하고 그들의 존엄을 짓밟았을 뿐 아니라 일본의 가해 책임을 외면하며 일본정부가 주장하는 '합법적인 식민지 지배'를 스스로 인정하는 것"이라며 "남조선에서 거세찬 반발을 불러일으키고 있다"고 주장했다.

요약 정보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줄인 '세 줄 요약' 기술을 사용합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과 함께 읽어야 합니다. 제공 = 연합뉴스&줌인터넷®
정부, 강제징용 해법 발표
정부, 강제징용 해법 발표

(서울=연합뉴스) 박동주 기자 = 한국 정부가 일본과의 최대 외교 현안인 강제징용 피해자 배상 문제를 매듭짓기 위한 해법을 6일 공식 발표했다.
사진은 이날 오전 서울 종로구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 앞. 2023.3.6 pdj6635@yna.co.kr

(서울=연합뉴스) 박수윤 기자 = 정부의 일제 강제징용 해법 발표에 대해 북한 관영매체가 아직 공식 논평하지 않은 가운데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조선총련) 기관지 조선신보가 남측 동향을 소개하며 비판적 입장을 내놨다.

북한 입장을 대변하는 조선신보는 9일 정부의 '제3자 변제' 강제징용 피해배상 해법이 "제2의 한일합병"이라며 비판했다.

신문은 "이는 강제징용 피해자들의 요구를 무시하고 그들의 존엄을 짓밟았을 뿐 아니라 일본의 가해 책임을 외면하며 일본정부가 주장하는 '합법적인 식민지 지배'를 스스로 인정하는 것"이라며 "남조선에서 거세찬 반발을 불러일으키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2018년 대법원이 강제징용 피해자들이 일으킨 재판에서 일본기업에 배상 명령을 내렸음에도 불구하고 윤석열정부는 이를 뒤집는 결정을 내렸다"고 지적했다.

신문은 한국의 야당과 시민단체들이 규탄 회견을 이어가고 있다고 소개하며 일부 시위 참가자들이 주장한 '을사 5적', '강제동원 계묘 5적' 등의 발언도 전했다.

북한 관영매체들은 아직 공식적인 논평을 내놓지 않았다.

앞서 박진 외교부 장관은 6일 서울 외교부 청사에서 '강제징용 대법원 판결 관련 정부입장 발표' 회견을 열고 행정안전부 산하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이 대법원 확정판결 원고들에게 판결금과 지연이자를 지급하는 방안을 공개했다.

clap@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
댓글 많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