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포항 보경사군립공원 40년 만에 '내연산보경사시립공원'으로

송고시간2023-02-08 11:32

beta

경북 포항의 보경사군립공원이 내연산보경사시립공원으로 이름이 변경됐다.

8일 포항시에 따르면 포항시립공원위원회는 지난달 10일 보경사군립공원 명칭 변경안을 심의해 이같이 정했다.

보경사군립공원은 1983년 포항시 북구 송라면 내연산 일대를 권역으로 군립공원에 지정됐다.

요약 정보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줄인 '세 줄 요약' 기술을 사용합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과 함께 읽어야 합니다. 제공 = 연합뉴스&줌인터넷®
내연산 관음폭포
내연산 관음폭포

[촬영 손대성]

(포항=연합뉴스) 손대성 기자 = 경북 포항의 보경사군립공원이 내연산보경사시립공원으로 이름이 변경됐다.

8일 포항시에 따르면 포항시립공원위원회는 지난달 10일 보경사군립공원 명칭 변경안을 심의해 이같이 정했다.

시는 위원회 심의 결과에 따라 이달 초 공원계획변경을 고시했다.

보경사군립공원은 1983년 포항시 북구 송라면 내연산 일대를 권역으로 군립공원에 지정됐다.

시군 통합 이후 포항시에 속해있음에도 국립·도립·군립공원으로만 분류한 옛 자연공원법에 따라 시립공원이 아닌 군립공원으로 지정됐다.

그러나 2016년 자연공원법 일부 개정으로 군수가 지정하는 군립공원, 시장이 지정하는 시립공원, 구청장이 지정하는 구립공원으로 공원 명칭이 바뀌었다.

시는 법 개정 취지에 맞게 군립공원을 시립공원으로 용어를 바꾸면서 동시에 새로운 이름을 붙이기로 했다.

보경사군립공원은 사찰이 중심이어서 공원 구역인 내연산 전체를 아우르지는 못한다는 지적도 있었다.

시는 2021년 5월 보경사시립공원, 내연산시립공원, 내연산보경사시립공원, 진경산수시립공원, 내연산폭포시립공원을 후보로 삼고 시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했다.

그 결과 내연산시립공원이 46%, 내연산보경사시립공원이 44%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내연산은 14㎞에 이르는 계곡을 따라 다양한 형태의 폭포 열두개가 있고 신선대, 학소대 등 높이 50∼100m에 이르는 암벽, 기암괴석이 장관을 이룬다.

고찰 보경사와 부속암자인 서운암, 문수암 등이 있다.

시 관계자는 "앞으로 바뀐 명칭에 따라 안내판을 정비하고 홍보물도 새롭게 제작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내연산 보경사
내연산 보경사

[연합뉴스 자료사진]

내연산 은폭포
내연산 은폭포

[촬영 손대성]

내연산 소금강전망대
내연산 소금강전망대

[촬영 손대성]

sds123@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
오래 머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