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日 사도광산 등재 대응…정부, 세계유산 관계기관협의회 개최(종합)

송고시간2023-02-03 17:16

beta

정부가 일본의 사도(佐渡) 광산 세계유산 등재 재신청 등에 대응하기 위해 유네스코 세계유산 관계기관 협의회를 꾸려 3일 첫 회의를 열었다.

외교부 이상화 공공외교대사 주재로 열린 회의에는 문화체육관광부, 교육부, 행정안전부, 문화재청 등 10개 관계기관이 참석했다.

요약 정보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줄인 '세 줄 요약' 기술을 사용합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과 함께 읽어야 합니다. 제공 = 연합뉴스&줌인터넷®

9월 세계유산위원회서 논의될 '군함도' 日 후속조치 이행현황 논의

메이지시대 이후 건설된 사도광산 갱도
메이지시대 이후 건설된 사도광산 갱도

[연합뉴스 자료사진] photo@yna.co.kr

(서울=연합뉴스) 오수진 기자 = 정부가 일본의 사도(佐渡) 광산 세계유산 등재 재신청 등에 대응하기 위해 유네스코 세계유산 관계기관 협의회를 꾸려 3일 첫 회의를 열었다.

외교부 이상화 공공외교대사 주재로 열린 회의에는 문화체육관광부, 교육부, 행정안전부, 문화재청 등 10개 관계기관이 참석했다.

외교부는 지난해 초부터 일본의 사도광산 세계유산 등재 추진에 대응하고자 '사도광산 세계유산 등재 추진 대응 작업반회의'를 운영해왔다.

그러나 이번에 사도광산 등재뿐만 아니라 2015년 일본이 '군함도' 등 근대산업시설 세계유산 등재 당시 약속한 후속조치 이행 현황을 보다 집중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기존 작업반 회의를 개편, 새로운 이름으로 운영하기로 했다.

올해 9월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열리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는 일본 근대산업시설 세계유산 등재 후속조치 관련 이행경과보고서를 검토할 예정이다.

일본은 하시마(端島, 일명 '군함도') 탄광 등 근대산업시설이 2015년 세계유산으로 등재될 당시 조선인 강제노역을 제대로 알리겠다고 약속했지만, 조선인에 대한 차별이 없었다는 취지의 주장을 되풀이하며 후속 조치를 제대로 이행하지 않고 있다.

지난해 말 일본 정부는 유네스코 사무국에 제출한 후속조치 이행 관련 보고서를 통해 조선인과 일본인의 노동조건이 같았다는 주장을 반복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일본의 사도광산 등재 재신청 현황도 논의됐다.

일본 정부는 지난해 일제 강점기 조선인 강제 노역 현장인 사도광산을 세계문화유산에 등재하려 했으나 추천서 미비로 정식 신청이 무산됐고 지난달 말 미비점을 보완해 유네스코에 추천서를 다시 제출했다.

일본은 2024년에 사도광산을 세계 문화유산으로 등재하려고 노력 중이다.

kiki@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
댓글 많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