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실련 "필수의료 지원대책, '부족한 의사 확보' 빠진 땜질식"
송고시간2023-02-01 12:21
"공공의대 신설하고 의대 정원 확대해야"

(서울=연합뉴스) 황광모 기자 =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이 31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필수 의료 지원대책 발표를 하고 있다. 2023.1.31 hkmpooh@yna.co.kr
(서울=연합뉴스) 설하은 기자 =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은 1일 보건복지부의 필수의료 지원 대책은 부족한 의사를 확보할 방안이 없는 땜질식 대책이라고 비판했다.
전날 복지부는 의사 부족과 지역 간 쏠림으로 위기를 맞은 중증·응급·분만·소아과 등 필수의료 분야를 살리기 위한 필수의료 지원 대책을 발표했다. 대책에는 의료인에 대한 보상 확대와 함께 공공정책 수가 도입, 병원 순환당직체계 시범 운영 등이 포함됐다.
경실련은 "복지부의 대책은 알맹이가 빠진 땜질식 대책으로 필수의료 기반 강화를 기대했던 국민의 바람을 저버린 실망스러운 결과"라고 지적했다.
필수의료 부족과 불균형 문제의 원인은 절대적으로 부족한 의사 수와 의사 배치를 강제할 방안이 없다는 것인데 복지부 대책에는 인력 총량을 늘릴 방안이 부재해 결국 '아랫돌을 빼서 윗돌을 괴는 꼴'이라는 것이다.
병원 간 순환당직제 도입에 대해서는 "사고 발생 시 책임 소재가 불분명할 뿐만 아니라 상급종합병원의 의사 미확보에 따른 직무유기를 정부가 합법화하고 보상하는 방안"이라고 질타했다.

(서울=연합뉴스) 신준희 기자 = 16일 오전 종로구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에서 지역 의료격차 실태발표 및 개선 촉구 기자회견이 열리고 있다. 2023.1.16 hama@yna.co.kr
경실련은 또 "과거 사례에 비춰보면 수가 인상은 의사 부족을 해결하지 못한 반면에 인력을 갖춘 의료기관은 수입 증대를 위해 과잉진료를 유발할 수 있다"며 의료자원 확충이 아닌 혈세 낭비로 이어질 것을 우려했다.
또 의료사고 부담 완화를 위한 의료인 형사처벌 특례도입은 "의료인의 주의의무 책임 완화로 이어질 수 있다"며 철회하라고 요구했다.
경실련은 "지역·진료과목 간 필수의료 격차를 해소하고 부족한 의료인력을 확보하기 위한 근본 대책은 공공의대 신설과 의대 정원 확대"라고 주장했다.
soruha@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2023/02/01 12:21 송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