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인권위 "스스로 보호 거부하는 '자기방임'도 노인학대"

송고시간2023-01-31 12:00

beta

국가인권위원회는 국회에 계류 중인 '학대피해 노인의 권리보호와 지원에 관한 법률'(학대피해노인법)에 '자기방임'을 노인학대의 한 유형으로 규정하라고 국회의장에게 권고했다고 31일 밝혔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 따르면 자기방임은 2005년 노인학대 신고 사례 중 1%에 불과했으나 2015년에는 10.1%로 급증했다.

인권위는 "자기방임은 독거노인이나 지역사회에서 단절된 노인이 '고독사'로 이어지는 사례 등과 같이 새로운 노인학대 유형"이라고 짚었다.

요약 정보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줄인 '세 줄 요약' 기술을 사용합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과 함께 읽어야 합니다. 제공 = 연합뉴스&줌인터넷®

"발의된 '학대피해노인법'에 규정해야" 국회의장에 권고

'쓰레기더미'서 숙식…'자기방임' 노인 4년새 3배↑(CG)
'쓰레기더미'서 숙식…'자기방임' 노인 4년새 3배↑(CG)

[연합뉴스TV 제공] ※ 기사와 관련 없음

(서울=연합뉴스) 송정은 기자 = 국가인권위원회는 국회에 계류 중인 '학대피해 노인의 권리보호와 지원에 관한 법률'(학대피해노인법)에 '자기방임'을 노인학대의 한 유형으로 규정하라고 국회의장에게 권고했다고 31일 밝혔다.

자기방임은 노인이 의료 처치나 약 복용 등 치료 행위를 거부하거나 위험한 상황에서 도움을 요청하지 않고 거부하는 행위, 생존에 필수적인 의식주를 거부하는 행위 등이 포함된다.

신체적·정신적 능력이 없는 상태에서 돌봄을 거부해 생명이 위협받도록 하는 것, 약물·알코올 남용, 자살 시도 등도 해당한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 따르면 자기방임은 2005년 노인학대 신고 사례 중 1%에 불과했으나 2015년에는 10.1%로 급증했다.

인권위는 "자기방임은 독거노인이나 지역사회에서 단절된 노인이 '고독사'로 이어지는 사례 등과 같이 새로운 노인학대 유형"이라고 짚었다.

이에 따라 인권위는 노인의료복지시설에 대한 외부감시를 강화하기 위한 '노인인권지킴이단' 운영을 의무화하는 내용을 학대피해노인법에 담으라고 국회의장에게 권고했다.

또한 현행 노인복지법 조항과 국회에 발의된 노인복지법 개정안 조항 등 흩어진 규정들을 모아 학대피해노인법으로 단일화할 것을 요청했다.

아울러 보건복지부 장관에게는 학대피해 노인 누구나 쉼터를 이용할 수 있도록 전용 쉼터를 늘리고, 노인의료복지시설 입소 노인의 신체 자유를 제한하는 경우 그 요건과 절차를 법률에 명시하도록 노인복지법 개정을 추진하라고 권고했다.

국가인권위원회
국가인권위원회

[연합뉴스TV 제공]

sje@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
댓글 많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