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ESS산업 육성 첫발…2036년까지 최대 45조 필요

송고시간2023-01-30 06:00

beta

산업통상자원부가 올해 상반기를 목표로 에너지저장장치(ESS) 산업 발전 전략 수립을 위한 첫발을 내디뎠다.

산업부는 30일 서울 강남구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에서 '에너지 스토리지(저장장치) 산업정책 전담팀(TF)'을 출범하고 산·학·연 전문가 의견을 수렴했다.

산업부는 최근 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전기본)을 통해 2036년까지 약 26GW(기가와트)의 ESS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 최대 45조4천억원이 소요될 것으로 전망했다.

요약 정보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줄인 '세 줄 요약' 기술을 사용합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과 함께 읽어야 합니다. 제공 = 연합뉴스&줌인터넷®
ESS 산업 글로벌 시장 동향
ESS 산업 글로벌 시장 동향

[산업통상자원부 제공]

(서울=연합뉴스) 홍국기 기자 = 산업통상자원부가 올해 상반기를 목표로 에너지저장장치(ESS) 산업 발전 전략 수립을 위한 첫발을 내디뎠다.

산업부는 30일 서울 강남구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에서 '에너지 스토리지(저장장치) 산업정책 전담팀(TF)'을 출범하고 산·학·연 전문가 의견을 수렴했다.

ESS는 전력 저장을 통해 발전소 건설비, 송전선 설치비 등의 투자비를 절감할 수 있고 재생에너지 변동성 대응이 가능해 전력 시스템에서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블룸버그신에너지금융연구소(BNEF)에 따르면 ESS 산업 시장은 2021년 110억달러에서 2030년 2천620억달러까지 성장할 것으로 분석됐다.

산업부는 최근 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전기본)을 통해 2036년까지 약 26GW(기가와트)의 ESS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 최대 45조4천억원이 소요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호현 산업부 전력정책관은 "재생에너지 비중이 높은 제주도·호남 지역의 계통 불안정성 보완, 재생에너지 출력 제어 완화, 석탄발전소 재활용 등에 대응하려면 장주기·대용량 ESS 도입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redflag@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
댓글 많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