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러, 북핵 위협에 "핵보유국 지위는 5개국뿐…평화체제 필요"

송고시간2023-01-28 13:18

beta

러시아 관영 스푸트니크 통신에 따르면 랴브코프 차관은 이날 인터뷰에서 "동북아에서 핵 대결이 벌어질 전망에 대해 언급하고 싶지 않다"며 "왜냐하면 관련된 모든 당사자들이 핵 대결을 피하는 데에 집중해야 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는 "단순히 위험 지점에서 벗어나는 것이 아니라 핵을 포함한 산적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평화유지체제를 만드는 것만이 신뢰할 수 있는 해법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랴브코프 차관은 "북한의 핵 보유국 지위를 인정할 것이냐는 가정적 질문에 대해서는, 러시아는 오직 '빅 5' 국가에만 핵 보유국 지위를 인정하고 있는 NPT를 전적으로 준수하고 있다는 점을 재차 강조하고자 한다"고 답변했다.

요약 정보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줄인 '세 줄 요약' 기술을 사용합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과 함께 읽어야 합니다. 제공 = 연합뉴스&줌인터넷®

러 외무차관 '북한 핵 보유국 공식인정 불가' 에둘러 표현

북한의 미사일
북한의 미사일

[EPA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김동호 기자 = 러시아는 한반도 주변 상황의 관련 당사자들이 모두 '핵 대결'을 피해야만 한다는 입장으로, 핵확산금지조약(NPT)을 준수하고 있다고 세르게이 랴브코프 러시아 외무차관이 28일(현지시간) 밝혔다.

러시아 관영 스푸트니크 통신에 따르면 랴브코프 차관은 이날 인터뷰에서 "동북아에서 핵 대결이 벌어질 전망에 대해 언급하고 싶지 않다"며 "왜냐하면 관련된 모든 당사자들이 핵 대결을 피하는 데에 집중해야 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는 "단순히 위험 지점에서 벗어나는 것이 아니라 핵을 포함한 산적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평화유지체제를 만드는 것만이 신뢰할 수 있는 해법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랴브로프 차관은 러시아가 중국과의 공동 이니셔티브와 한반도 사안 해결을 위한 보편적 로드맵 등을 바탕으로 관련 당사자들과의 대화에 나설 준비가 돼 있다고 설명했다.

랴브코프 차관은 "북한의 핵 보유국 지위를 인정할 것이냐는 가정적 질문에 대해서는, 러시아는 오직 '빅 5' 국가에만 핵 보유국 지위를 인정하고 있는 NPT를 전적으로 준수하고 있다는 점을 재차 강조하고자 한다"고 답변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국내에서만 사용가능, 재배포 금지]

이는 북한의 최근 거듭된 미사일 도발과 핵실험 우려와 관련, 북한을 핵 보유국으로 공식 인정할 수 없다는 점을 에둘러 표현한 것으로 풀이된다.

NPT는 1967년 1월 1일 이전 핵실험과 핵개발을 마친 미국·영국·프랑스·러시아·중국만 핵무기 보유국으로 인정한다. 이들 5개국은 모두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P5)이다.

이들 5개국 정상은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1개월 전인 작년 1월, 5년마다 열리는 NPT 평가회의를 앞두고 발표한 공동 성명에서 "핵전쟁에서는 승자가 있을 수 없으며, 핵전쟁은 절대로 일어나선 안 된다는 점을 선언한다"고 밝힌 바 있다.

당시 이들은 "핵무기 사용은 장기적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우리는 핵무기가 존재하는 동안 그것들이 공격을 억지하고 전쟁을 예방하는 방어적 목적에 사용돼야 한다는 점도 확인한다"고 강조했다.

유엔 안보리 회의
유엔 안보리 회의

[로이터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dk@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
댓글 많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