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野 "尹정부, 손놓고 있다 난방비 폭탄…중산층도 지원해야"

송고시간2023-01-26 11:24

beta

더불어민주당은 26일 '난방비 폭탄'을 연일 쟁점화하며 대여(對與) 공세를 폈다.

난방비 폭등과 사전 대책 부실 책임을 정부에 따져 묻는 한편 7조원 규모의 '에너지 고물가 지원금' 지급안을 내놓으며 '대안 야당'의 면모를 부각하는 데 집중했다.

난방비 폭등 사태를 지렛대 삼아 민생 분야에서 주도권을 쥐려는 포석으로 풀이된다.

요약 정보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줄인 '세 줄 요약' 기술을 사용합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과 함께 읽어야 합니다. 제공 = 연합뉴스&줌인터넷®

이재명 '에너지 고물가 지원금' 7.2조원 제안…"정부 대책 부실"

대통령실 '文정부 요금인상 억제' 발언 비판…"또 전 정부 탓이냐"

민주당 난방비 폭탄 긴급대책회의
민주당 난방비 폭탄 긴급대책회의

(서울=연합뉴스) 백승렬 기자 =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26일 국회에서 열린 난방비 폭탄 민주당 지방정부·의회 긴급 대책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3.1.26 srbaek@yna.co.kr

(서울=연합뉴스) 고상민 정수연 정윤주 기자 = 더불어민주당은 26일 '난방비 폭탄'을 연일 쟁점화하며 대여(對與) 공세를 폈다.

난방비 폭등과 사전 대책 부실 책임을 정부에 따져 묻는 한편 7조원 규모의 '에너지 고물가 지원금' 지급안을 내놓으며 '대안 야당'의 면모를 부각하는 데 집중했다.

난방비 폭등 사태를 지렛대 삼아 민생 분야에서 주도권을 쥐려는 포석으로 풀이된다.

민주당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난방비 폭탄 민주당 지방정부·의회 긴급 대책회의'를 열었다.

사태 진단과 대응책 마련을 위해 지도부와 민주당 소속 지방자치단체장, 지방의회 주요 인사들이 한 데 모인 자리였다.

이 대표는 회의에서 "전쟁이나 경제 상황 때문에 이런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대체로 예상할 수 있는 일이었다"며 "현 정부는 대책을 충분히 마련하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정부에 약 7조2천억원의 '에너지 고물가 지원금' 지급안을 제안했다.

이는 이 대표가 신년 기자회견에서 제시한 '30조원 긴급 민생 프로젝트' 가운데 5조원 규모의 '핀셋 물가 지원금'을 확대 적용한 개념이다.

난방비 폭탄 긴급대책회의 발언하는 이재명 대표
난방비 폭탄 긴급대책회의 발언하는 이재명 대표

(서울=연합뉴스) 백승렬 기자 =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26일 국회에서 열린 난방비 폭탄 민주당 지방정부·의회 긴급 대책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3.1.26 srbaek@yna.co.kr

이 대표는 지원금 재원 확보를 위해 에너지 관련 기업들에 '횡재세' 개념의 부담금을 부과하는 방안도 거듭 제시했다.

지난해 고유가 상황에서 국내 정유 4사가 막대한 수익을 올린 만큼 '에너지 고물가' 상황에서 이들에게 일종의 고통 분담을 요구해야 한다는 것이다.

김성환 정책위의장도 정책조정회의에서 "현행 석유사업법 18조에 따라 국제 유가의 등락 과정에서 수익이 발생하면 산업부 장관이 부과금을 거둬 에너지 취약계층에 쓸 수 있다"며 "정부는 적극적으로 정유사의 초과 이익을 에너지바우처 기금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민주당은 대통령실이 이날 발표한 '에너지 바우처 지원 확대' 대책에 대해서도 각을 세웠다.

특히 지원 대상을 저소득층에만 집중한 점을 문제 삼으며 '보편적 지원' 필요성을 강조했다.

김 정책위의장은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중산층도 난방비 폭탄의 피해가 크다"며 "그것(정부 대책)만으로는 에너지 물가 서민 대책이라고 하기엔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취약계층 난방비 지원 브리핑 나선 최상목 경제수석
취약계층 난방비 지원 브리핑 나선 최상목 경제수석

(서울=연합뉴스) 임헌정 기자 = 최상목 대통령실 경제수석이 26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취약계층 난방지 지원 관련 브리핑을 위해 단상에 오르고 있다. 2023.1.26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kane@yna.co.kr

민주당은 "지난 몇 년간 인상 요인이 있었음에도 요금 인상 요인을 억제했다"는 최상목 경제수석의 이날 브리핑과 관련해서는 난방비 급등 사태의 원인을 전임 문재인 정부의 탓으로 돌리고 있다고 비판했다.

원내 관계자는 "동절기 (난방비 인상) 대비는 현 정부가 해야 할 일이었다. 국제 LNG(액화천연가스) 가격이 오르고 우크라이나 전쟁이 장기화하는 데도 손 놓고 있지 않았냐"며 "2월 임시회 때 관련 상임위에서 정부에 책임을 묻겠다"고 말했다.

오영환 원내대변인은 정책조정회의 후 기자들과 만나 "대통령실이 또 전 정부 탓으로 돌리는 것을 보면 안타깝기 그지없다"며 "사태가 충분히 예측됐음에도 이제야 조치가 이뤄졌다. 언 발에 오줌 누기 수준이 아니길 바란다"고 꼬집었다.

gorious@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
오래 머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