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NH농협·우리, 5대은행 중 12월 가계대출 예대금리차 1·2위

송고시간2023-01-20 16:42

beta

지난달 5대 시중은행 가운데 예대금리차(대출금리-예금금리)가 가장 컸던 곳은 NH농협은행으로 조사됐다.

20일 오후 은행연합회 소비자포털에 공시된 '예대금리차 비교' 통계에 따르면 12월 정책서민금융(햇살론뱅크·햇살론15·안전망 대출)을 뺀 NH농협은행의 가계 예대금리차(가계대출금리-저축성수신금리)는 0.94%포인트(p)로 집계됐다.

은행권이 작년 7월 첫 공시 이후 저소득·저신용 서민 대상 정책금융상품의 금리가 높아 이를 많이 취급할수록 예대금리차가 커지는 왜곡 현상을 지적하자, 같은 해 8월 통계부터 일부 정책금융상품을 제외한 예대금리차가 따로 공개되고 있다.

요약 정보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줄인 '세 줄 요약' 기술을 사용합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과 함께 읽어야 합니다. 제공 = 연합뉴스&줌인터넷®

서민금융 제외 가계대출 기준…이어 하나·신한·KB 순, 5대 은행 0.61∼0.94%p

인터넷은행 중 토스뱅크 5.48%p 최대…19개 은행 전체 1위는 전북은행 5.71%p

가계·기업대출 예대금리차 1위는 우리은행 1.38%p

(서울=연합뉴스) 신호경 박대한 기자 = 지난달 5대 시중은행 가운데 예대금리차(대출금리-예금금리)가 가장 컸던 곳은 NH농협은행으로 조사됐다.

지나친 '이자 장사'를 막자는 취지로 지난해 7월부터 19개 은행의 월별 예대금리차 공시가 시작됐는데, 예대금리차가 상대적으로 크다는 것은 일단 산술적으로 대출·예금 금리 격차에 따른 마진이 많다는 뜻이다.

20일 오후 은행연합회 소비자포털에 공시된 '예대금리차 비교' 통계에 따르면 12월 정책서민금융(햇살론뱅크·햇살론15·안전망 대출)을 뺀 NH농협은행의 가계 예대금리차(가계대출금리-저축성수신금리)는 0.94%포인트(p)로 집계됐다.

5대 시중은행 로고
5대 시중은행 로고

5대 시중은행 본점의 로고, 위에서부터 국민은행, 신한은행, KEB하나은행, 우리은행, 농협은행 [촬영 이세원]

은행권이 작년 7월 첫 공시 이후 저소득·저신용 서민 대상 정책금융상품의 금리가 높아 이를 많이 취급할수록 예대금리차가 커지는 왜곡 현상을 지적하자, 같은 해 8월 통계부터 일부 정책금융상품을 제외한 예대금리차가 따로 공개되고 있다.

NH농협에 이어 우리은행(0.77%포인트), 하나은행(0.69%포인트), 신한은행(0.63%포인트), KB국민은행(0.61%포인트) 순으로 가계 예대금리차가 컸다.

인터넷은행 중에서는 토스뱅크의 가계 예대금리차(5.48%포인트)가 가장 컸고, 케이뱅크(2.47%포인트)와 카카오뱅크[323410](1.65%포인트)가 뒤를 이었다.

지방은행, 외국계은행을 포함해 이날 공시에 참여한 19개 은행 가운데 가계 예대금리차가 가장 큰 곳은 전북은행(5.71%포인트), 최소 은행은 제주은행(0.46%포인트)이었다.

기업 대출까지 포함한 전체 은행의 예대금리차(대출금리-저축성수신금리) 통계에서는 5대 은행 가운데 우리은행이 1.38%포인트로 가장 컸다.

2∼5위는 신한은행(1.19%포인트), NH농협은행(1.15%포인트), KB국민은행(1.10%포인트), 하나은행(1.01%포인트) 순이었다.

shk999@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
오래 머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