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국립산림과학원 "전통 한지 이렇게 만듭니다"

송고시간2023-01-16 11:11

beta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바이오소재연구소는 일반인들이 한지에 대한 지식과 정보를 쉽게 접할 수 있도록 '전통 한지는 어떻게 만들어지나?'와 '태지'를 발간했다고 16일 밝혔다.

한지는 닥나무를 재료로 하는 전통 임산물로 과거에는 중요하게 취급되었던 물품이었으나 근대화 이후 용도 및 시장이 축소되면서 사람들의 생활에서 멀어졌다고 연구소는 설명했다.

한지는 세계적인 문화재 복원에 사용되면서 그 우수성을 인정받았으며, 최근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목록 등재 추진 등 문화유산 가치가 재조명되고 있다.

요약 정보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줄인 '세 줄 요약' 기술을 사용합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과 함께 읽어야 합니다. 제공 = 연합뉴스&줌인터넷®

제작과정에 관한 설명자료 담은 '태지' 등 발간

전통 한지는 어떻게 만들어지나?
전통 한지는 어떻게 만들어지나?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진주=연합뉴스) 지성호 기자 =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바이오소재연구소는 일반인들이 한지에 대한 지식과 정보를 쉽게 접할 수 있도록 '전통 한지는 어떻게 만들어지나?'와 '태지'를 발간했다고 16일 밝혔다.

한지는 닥나무를 재료로 하는 전통 임산물로 과거에는 중요하게 취급되었던 물품이었으나 근대화 이후 용도 및 시장이 축소되면서 사람들의 생활에서 멀어졌다고 연구소는 설명했다.

심지어 한지 문화 계승은 단절 위기에 처해있다.

하지만 한지는 세계적인 문화재 복원에 사용되면서 그 우수성을 인정받았으며, 최근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목록 등재 추진 등 문화유산 가치가 재조명되고 있다.

이번에 발간된 간행물은 전통 한지의 일반적인 제조과정에 대한 '전통 한지는 어떻게 만들어지나?'와 닥나무 섬유에 녹조식물인 해캄을 넣어 만든 한지 종류인 '태지'에 대한 것이다.

전통 한지는 어떻게 만들어지나에서는 닥나무 베기부터 가공까지의 전통 한지의 일반적인 제조과정에 대해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했다.

태지에서는 고문헌에 기록된 약 284종의 전통 한지 중 제조법이 전수되지 않았던 태지에 대한 국립산림과학원의 제조법 복원 연구 결과와 제조과정이 담겼다.

서정원 산림바이오소재연구소 소장은 "이번 간행물이 한지에 대한 지식과 정보를 공유하고, 한지의 대중화와 세계화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shchi@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
댓글 많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