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2보] '아직 물가 높다'…한은, 기준금리 또 0.25%p 올려

송고시간2023-01-13 09:52

beta

한국은행이 여전히 5%에 이르는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낮추기 위해 13일 기준금리를 또 0.25%포인트(p) 올렸다.

해가 바뀌고도 한은이 인상 행진을 이어간 것은, 무엇보다 아직 물가가 불안하기 때문이다.

지난해 12월 14일(현지시간)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빅 스텝(기준금리 0.50%포인트 인상)으로 1.25%포인트까지 벌어진 한국(3.25%)과 미국(4.25∼4.50%)의 기준금리 차이도 한은 인상 결정의 주요 배경으로 꼽힌다.

요약 정보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줄인 '세 줄 요약' 기술을 사용합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과 함께 읽어야 합니다. 제공 = 연합뉴스&줌인터넷®

3.25→3.50%, 7연속 인상…'22년만에 최대' 한미 금리 역전 폭도 고려

금융통화위원회 주재하는 이창용 총재
금융통화위원회 주재하는 이창용 총재

(서울=연합뉴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3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2023년 첫 금융통화위원회를 주재하고 있다. 2023.1.13 [사진공동취재단] photo@yna.co.kr

(서울=연합뉴스) 신호경 박대한 민선희 기자 = 한국은행이 여전히 5%에 이르는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낮추기 위해 13일 기준금리를 또 0.25%포인트(p) 올렸다.

사상 첫 일곱 차례 연속(2022년 4·5·7·8·10·11월, 2023년 1월) 인상이다.

해가 바뀌고도 한은이 인상 행진을 이어간 것은, 무엇보다 아직 물가가 불안하기 때문이다.

작년 12월 소비자물가지수(109.28)는 1년 전보다 5.0% 올랐다. 상승률이 같은 해 7월(6.3%)을 정점으로 떨어지고 있지만, 5월 이후 8개월째 5%대 이상을 유지하고 있다.

향후 1년간의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에 해당하는 기대인플레이션율도 3%대 후반(2022년 12월 3.8%)으로 높은 수준이다.

지난해 12월 14일(현지시간)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빅 스텝(기준금리 0.50%포인트 인상)으로 1.25%포인트까지 벌어진 한국(3.25%)과 미국(4.25∼4.50%)의 기준금리 차이도 한은 인상 결정의 주요 배경으로 꼽힌다.

1.25%포인트는 2000년 10월 1.50%포인트 이후 두 나라 사이 가장 큰 금리 역전 폭이다.

달러와 같은 기축통화(국제 결제·금융거래의 기본 화폐)가 아닌 원화 입장에서 기준금리가 미국보다 크게 낮아지면, 외국인 투자 자금이 빠져나가고 원화 가치가 떨어질 위험이 커진다.

이날 한은의 금리인상 결정으로 미국 금리와의 격차는 일단 1.00%포인트로 좁혀졌다.

shk999@yna.co.kr, pdhis959@yna.co.kr, ssun@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
댓글 많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