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필수의료 전공의 충원율 6년새 95%→78.5% 뚝…진료대기 길어져

송고시간2023-01-12 15:23

beta
세 줄 요약

소아청소년과, 흉부외과, 산부인과 등 필수의료 과목의 전공의 충원율이 갈수록 떨어져 환자들의 진료 대기일수도 점점 길어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12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이종성 의원은 보건복지부에서 받은 '2017∼2022년 수련병원별 전공의 정원 및 충원 현황'을 분석해 전국 수련병원의 필수의료 과목 전공의 충원율이 해마다 줄어들고 있다고 밝혔다.

권역 내 필수의료 협력체계를 총괄하는 국립대병원조차 필수의료 전공의 충원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요약 정보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줄인 '세 줄 요약' 기술을 사용합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과 함께 읽어야 합니다. 제공 = 연합뉴스&줌인터넷®
이 뉴스 공유하기
본문 글자 크기 조정

이종성 의원 "국립대병원조차 충원율이 위기 수준으로 저조"

소아청소년과
소아청소년과

[촬영 이충원]

(서울=연합뉴스) 고미혜 기자 = 소아청소년과, 흉부외과, 산부인과 등 필수의료 과목의 전공의 충원율이 갈수록 떨어져 환자들의 진료 대기일수도 점점 길어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12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이종성 의원은 보건복지부에서 받은 '2017∼2022년 수련병원별 전공의 정원 및 충원 현황'을 분석해 전국 수련병원의 필수의료 과목 전공의 충원율이 해마다 줄어들고 있다고 밝혔다.

2017년에는 95.1%였던 것이 2018년 91.3%, 2019년 90.6%, 2020년 88.8%, 2021년 82.9%, 지난해엔 78.5%로까지 뚝 떨어졌다는 것이다.

권역 내 필수의료 협력체계를 총괄하는 국립대병원조차 필수의료 전공의 충원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흉부외과의 경우 지난해 강원대, 충북대, 충남대, 경상대, 제주대병원에서 충원율이 0%였고, 분당서울대병원은 33%, 부산대, 경북대, 전남대병원은 50%였다.

소아청소년과는 충남대, 경상대, 경북대, 전남대 0%, 전북대병원은 50%였고, 응급의학과의 경우 경상대, 경북대 0%, 제주대병원은 50%에 그쳤다.

전공의 부족은 길어진 진료 대기로 이어졌다.

지난해 전공의를 1명도 충원하지 못한 충남대병원 소아청소년과는 지난해 4분기 기준 평균 진료 대기일수가 22일로, 2017년 1분기보다 15일이나 늘었다. 역시 충원율 0%인 경북대병원 소아청소년과도 2017년 10일이던 대기일수가 작년 16일로 증가했다.

산부인과도 전북대병원이 2017년 1분기 5일에서 지난해 3분기 15일로, 분당서울대병원은 같은 기간 16일에서 33일로 늘었다. 분당서울대병원의 경우 지난해 산부인과 전공의 충원율이 100%였음에도, 지방의 산부인과 전공의 현상으로 쏠림현상이 나타나 대기가 길어진 것이라고 의원실은 분석했다.

이종성 의원은 "권역 내 필수의료 협력체계를 총괄하는 국립대병원에서조차 필수의료 과목 전공의 충원율이 위기 수준으로 저조한 것은 심각한 문제"라며 "의료약자의 생명과 직결되는 문제인 만큼 조속히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mihye@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
오래 머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