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美전문가들 "서울 침범 북한 무인기 이란제 가능성"

송고시간2023-01-11 07:55

beta
세 줄 요약

지난달 한국 영공을 침범한 북한 무인기들이 이란제일 가능성이 높다는 미국 전문가들의 분석이 나왔다.

켄 고스 미국 해군분석센터 선임국장은 10일(현지시간)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북한은 1990년대부터 무인기 기술을 연구해왔지만 최근 우리가 본 것과 같은 비행 시간과 회피 능력을 보여주지는 못했다"며 "북한은 오랜 국방기술 협력국인 이란으로부터 받은 무인기나 무인기 기술을 활용했을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스티븐 브라이엔 미국 안보정책센터 선임연구원도 최근 홍콩 아시아타임즈에 기고한 글에서 "북한이 이란 무인기를 사용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고 RFA는 전했다.

요약 정보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줄인 '세 줄 요약' 기술을 사용합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과 함께 읽어야 합니다. 제공 = 연합뉴스&줌인터넷®
이 뉴스 공유하기
본문 글자 크기 조정
이란이 공개한 지하 드론 기지
이란이 공개한 지하 드론 기지

[이란 EPA=연합뉴스. 이란군 제공.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이상현 기자 = 지난달 한국 영공을 침범한 북한 무인기들이 이란제일 가능성이 높다는 미국 전문가들의 분석이 나왔다.

켄 고스 미국 해군분석센터 선임국장은 10일(현지시간)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북한은 1990년대부터 무인기 기술을 연구해왔지만 최근 우리가 본 것과 같은 비행 시간과 회피 능력을 보여주지는 못했다"며 "북한은 오랜 국방기술 협력국인 이란으로부터 받은 무인기나 무인기 기술을 활용했을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그는 그러면서 북한이 2014년과 2016년, 2017년에도 한국 영공에 무인기를 띄웠으나 모두 추락한 상태로 발견됐던 점을 고려하면 이번 무인기의 성능이 향상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고스 국장은 이어 "이란은 '샤혜드-136' 등 자폭 무인기와 '모하제르-6'과 유사한 정찰과 공격용이 합쳐진 무인기를 보유하고 있다"며 "한국 공군이 무인기들을 추적하기 어려웠던 점을 감안하면 비행 중에 경로를 바꾼 것으로 보이는데 이란 무인기들은 공중에서 경로를 수정할 수 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브루스 베넷 미국 랜드연구소 선임연구원도 RFA에 "북한은 이란과 많은 거래를 했다. 이란 기술을 얻었을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래픽] 이란 주요 무인기 제원
[그래픽] 이란 주요 무인기 제원

(서울=연합뉴스) 반종빈 기자 bjbin@yna.co.kr
페이스북 tuney.kr/LeYN1 트위터 @yonhap_graphics

스티븐 브라이엔 미국 안보정책센터 선임연구원도 최근 홍콩 아시아타임즈에 기고한 글에서 "북한이 이란 무인기를 사용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고 RFA는 전했다.

그는 "이란제라면 한국군이 북한 무인기를 격추하지 못한 이유가 설명된다"며 "이란의 '샤혜드-136'은 충분한 비행거리(1천800∼2천500㎞)와 비행시간(6∼8시간)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북한의 이란제 무인기 사용은 한국 내 미군기지가 새롭고 중대한 위험에 노출됐다는 뜻"이라고 강조했다.

hapyry@yna.co.kr

유튜브로 보기

https://youtu.be/FD4YF1x0jdg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
오래 머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