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시중은행 이어 저축은행도 금리 5.5% 넘는 예금 사라졌다

송고시간2023-01-11 06:10

beta

새해를 맞아 고금리 예금 상품에 가입하려는 금융 소비자들의 수요가 크지만, 최근 금융권 특판 정보를 공유하는 재테크 커뮤니티에는 떨어진 예금 금리에 대해 실망감을 나타내는 글이 가득하다.

11일 금융권에 따르면 전날 JT저축은행은 연 5.5% 금리를 제공하던 회전식정기예금(변동금리) 상품의 금리를 연 5.3%로 하향 조정했다.

저축은행 업계는 지난해 10∼11월 최고 연 6.5%에 육박하는 금리의 예금 특판 상품을 취급하기도 했지만, 최근에는 연 5.5%를 넘는 예금 금리 상품이 사라졌다.

요약 정보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줄인 '세 줄 요약' 기술을 사용합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과 함께 읽어야 합니다. 제공 = 연합뉴스&줌인터넷®

두달새 평균 예금금리 0.28%p↓…금통위 뒤 다시 오를수도

저축은행
저축은행

[연합뉴스TV 제공]

(서울=연합뉴스) 오주현 기자 = "1월이 되면 예금 금리가 더 높아질 줄 알았는데…이제 연 6.5% 예금 금리는 꿈의 금리가 된 걸까요?"

새해를 맞아 고금리 예금 상품에 가입하려는 금융 소비자들의 수요가 크지만, 최근 금융권 특판 정보를 공유하는 재테크 커뮤니티에는 떨어진 예금 금리에 대해 실망감을 나타내는 글이 가득하다.

11일 금융권에 따르면 전날 JT저축은행은 연 5.5% 금리를 제공하던 회전식정기예금(변동금리) 상품의 금리를 연 5.3%로 하향 조정했다.

같은 날 웰컴저축은행은 정기예금 금리를 연 5.2%에서 연 5.0%로, 하나저축은행도 비대면 세바퀴 정기예금 금리를 연 5.5%에서 연 5.3%로 내리는 등 최근 저축은행은 예금 금리를 하향 조정하는 추세다.

10일 기준 저축은행의 평균 예금 금리는 연 5.25%(12개월 기준)로, 평균 금리가 가장 높았던 지난해 11월 말(연 5.53%)과 비교하면 약 0.28%포인트(p) 내렸다.

저축은행 업계는 지난해 10∼11월 최고 연 6.5%에 육박하는 금리의 예금 특판 상품을 취급하기도 했지만, 최근에는 연 5.5%를 넘는 예금 금리 상품이 사라졌다.

저축은행 업계가 예금 금리를 인하하는 데는 시중은행의 예금 금리 인하 영향이 크다.

한때 연 5%에 육박했던 시중은행의 예금 금리는 최근 들어 다시 4%대로 내려왔다.

금융당국이 은행 등 1금융권으로의 자금 쏠림을 막기 위해 예금 금리 인상 자제를 권고하면서 기준금리 상승에도 불구하고 은행들이 예금 금리를 오히려 내렸기 때문이다.

저축은행들은 통상 은행 예금 금리 대비 0.8∼1.0%포인트가량 높은 금리를 제시해 수신고를 유치하는 만큼 시중은행의 금리 변동에 큰 영향을 받는다.

한 저축은행 관계자는 "최근에는 저축은행에서 이탈하는 자금이 적고, 수신고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상황"이라며 "시중은행이 예금금리를 유지하거나 오히려 내린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저축은행 업계는 현재의 예금 금리 수준이 정상적인 수준이며, 오히려 더 낮아져야 한다고 보고 있다.

예금 금리가 오르면 대출금리도 올라야 하는데, 최근 대출금리를 연 8%에 육박할 정도로 올린 은행권과 달리 저축은행은 이미 법정 최고금리인 연 20%에 가까운 금리로 중금리 대출을 취급하는 만큼 대출금리를 더 올릴 여력이 없기 때문이다.

다만 한국은행이 오는 13일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를 추가로 인상한다면 다시 한번 예금 금리가 오름세를 보일 가능성도 있다.

시장은 한은이 이번 금통위에서 기준금리를 3.5%로, 0.25%포인트 인상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저축은행 업계 관계자는 "기준금리 인상에 발맞춰 시중은행이 예금 금리를 올려 저축은행의 수신고 이탈이 발생한다면 저축은행도 예금 금리를 다시 인상해야 할 수 있다"고 말했다.

viva5@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
오래 머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