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우크라, 불안 조성 위해 드론으로 러 극동 공격할 수 있어"

송고시간2023-01-09 11:43

beta

우크라이나군이 불안 조성 등을 위해 우크라이나·러시아 접경지역의 정반대 편인 극동 지역에도 기습적인 드론 공격을 가할 수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고 현지 언론이 보도했다.

9일 러시아 매체인 베스티 프리모리예에 따르면 군사전문가 알렉세이 수콘킨은 이 매체 칼럼에서 현지 군사 전문가들의 의견을 인용해 이런 주장을 전했다.

전문가들은 드론 공격대상지로 우크라이나 전장에 투입하는 러시아 신형 공격 헬기 Ka-52 등을 생산하는 연해주·하바롭스크주 생산시설을 꼽았다.

요약 정보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줄인 '세 줄 요약' 기술을 사용합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과 함께 읽어야 합니다. 제공 = 연합뉴스&줌인터넷®

러 군전문가 "선박으로 동해까지 드론 이송, 헬기 생산시설 노릴 수도"

우크라이나 공격에 사용된 것으로 알려진 이란제 드론
우크라이나 공격에 사용된 것으로 알려진 이란제 드론

[이란 국방부 제공·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블라디보스토크=연합뉴스) 최수호 특파원 = 우크라이나군이 불안 조성 등을 위해 우크라이나·러시아 접경지역의 정반대 편인 극동 지역에도 기습적인 드론 공격을 가할 수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고 현지 언론이 보도했다.

9일 러시아 매체인 베스티 프리모리예에 따르면 군사전문가 알렉세이 수콘킨은 이 매체 칼럼에서 현지 군사 전문가들의 의견을 인용해 이런 주장을 전했다.

전문가들은 드론 공격대상지로 우크라이나 전장에 투입하는 러시아 신형 공격 헬기 Ka-52 등을 생산하는 연해주·하바롭스크주 생산시설을 꼽았다.

또 공격 방법으로는 우크라이나군이 제3국에서 빌린 선박에 드론을 싣고 동해 또는 태평양 수역으로 이동한 뒤 이들 지역에 드론을 띄워 보낼 수 있다고 주장했다.

특히 선박에서 출발한 드론이 연해주 지역 해안까지 도달할 경우 내륙에 시호테알린산맥이 솟아있는 까닭에 러시아군이 드론 탐지·요격에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어 이러한 드론 공격의 목적은 전투 헬기 생산 중단을 위한 시설 파괴보다는 러시아군 방어 능력에 흠집을 내거나 주민들 사이에 불안을 조장하려는 것에 무게를 두고 있다고 했다.

러시아 태평양 함대는 이런 주장과 관련해 비공식 텔레그램 채널을 통해 "연해주와 하바롭스크주는 적의 공중 공격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받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연해주와 하바롭스크주에는 최신 무선 탐지 및 대공 장비 등이 배치돼 있다"며 "두 지역은 옛 소련 시절부터 항상 불안정한 지역이었던 까닭에 방어에 특별한 관심을 두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현재 러시아 방공망은 기존 항공기 외에도 드론, 순항 미사일 등을 수백㎞ 떨어진 곳에서부터 탐지할 수 있다"며 "태평양 함대는 헬기 생산시설 보호 등을 위해 이 지역 대공방어를 위한 훈련도 정기적으로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suho@yna.co.kr

유튜브로 보기

https://youtu.be/Sotbnb9gRoE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
댓글 많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