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닥터헬기' 해발 1천700m 한라산 윗세오름 8분 만에 도착

송고시간2023-01-09 10:08

beta

제주에 배치된 닥터헬기가 한라산 해발 1천700m에서 발생한 응급환자를 조기에 구조했다.

9일 제주도에 따르면 지난 8일 오후 2시 45분께 한라산에서 내려오던 등산객 A(52·충남)씨가 갑자기 가슴 통증과 현기증을 호소한다는 A씨 일행의 구조 요청이 119상황실에 들어왔다.

오후 2시 53분께 한라병원에서 이륙해 불과 8분 만인 오후 3시 1분께 한라산 윗세오름에 착륙했다.

요약 정보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줄인 '세 줄 요약' 기술을 사용합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과 함께 읽어야 합니다. 제공 = 연합뉴스&줌인터넷®

지난해 12월 1일 제주에 실전 배치돼 첫 응급 환자 구조

(제주=연합뉴스) 고성식 기자 = 제주에 배치된 닥터헬기가 한라산 해발 1천700m에서 발생한 응급환자를 조기에 구조했다.

응급환자 병원 이송한 닥터헬기
응급환자 병원 이송한 닥터헬기

[제주도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9일 제주도에 따르면 지난 8일 오후 2시 45분께 한라산에서 내려오던 등산객 A(52·충남)씨가 갑자기 가슴 통증과 현기증을 호소한다는 A씨 일행의 구조 요청이 119상황실에 들어왔다.

차량 접근이 불가능한 한라산 해발 1천700m 윗세오름 일대에서 사고가 발생, 구조대가 도보로 현장에 접근하는 데만 수 시간이 걸리는 상황이었다.

'골든타임'을 놓칠 수 있는 위급한 상황에서 제주도는 '날아다니는 응급실'로 불리는 닥터헬기에 급히 출동을 요청했다.

닥터헬기는 불과 한 달 여전인 지난해 12월 1일 제주에 실전 배치됐다.

닥터헬기는 대기해 있던 제주시 내 종합병원인 한라병원에서 의사와 응급구조사를 태우고 곧바로 현장으로 출동했다.

오후 2시 53분께 한라병원에서 이륙해 불과 8분 만인 오후 3시 1분께 한라산 윗세오름에 착륙했다.

의료진은 A씨를 병원에 옮기는 중에도 닥터헬기 내 의료기기를 활용해 심전도와 산소포화도, 혈압을 지속해서 확인하면서 환자의 상태가 안정되도록 최선을 다했다.

A씨는 닥터헬기를 요청한 지 27분 만인 오후 3시 12분께 한라병원 응급실에 도착, 미리 대기하던 의료진에 의해 신속한 정밀검사를 받았다.

한때 위급한 상황에 처했던 A씨는 신속한 처지를 받아 안정을 되찾아 조기 퇴원도 가능했다.

A씨는 닥터헬기가 지난해 12월 1일 제주에 배치된 후 출동한 첫 번째 환자로 기록됐다.

닥터헬기는 기내에 첨단 의료 장비를 탑재하고 응급의학 전문의, 간호사 등 전문 의료인력을 태우는 응급의료 전용 헬기다.

제주는 서울의 3배 면적으로 넓고 해발고도가 높은 한라산과 추자도와 마라도 등 도서 지역도 많아 응급환자의 골든타임을 지키기가 쉽지 않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제주에 배치된 닥터헬기는 유럽 에어버스 헬리콥터스 사가 1990년대 초 개발한 EC-155B1 기종이다.

서귀포시 남원읍 수망리 헬기장을 응급의료 전용 헬기 계류장으로 사용하고 평상시에는 한라병원 옥상에 비상 대기해 있다.

강인철 제주코로나방역대응추진단장은 "닥터헬기 도입으로 한라산에서 위급에 처한 소중한 생명을 지킬 수 있었다"며 "도내 어디에서든 응급환자의 골든타임을 확보하고 응급의료 접근성을 더욱 높이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koss@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
댓글 많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