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윤 대통령 던진 중대선거구제에 부산 여야 반응 엇갈려

송고시간2023-01-05 08:04

beta

윤석열 대통령이 던진 중대(中大)선거구제 도입을 두고 부산 여야 정당은 엇갈린 반응을 내면서도 이해득실 계산에 복잡한 표정이다.

윤 대통령은 최근 언론 인터뷰에서 "중대선거구제로 대표성을 강화하는 방안을 검토해볼 필요가 있다"면서 "모든 선거구를 중대선거구제로 하기보다는 지역 특성에 따라 한 선거구에서 2명, 3명, 4명을 선출하는 방법도 고려해볼 수 있다"고 말했다.

국민의힘 부산 현역 의원들 반응은 엇갈렸다.

요약 정보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줄인 '세 줄 요약' 기술을 사용합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과 함께 읽어야 합니다. 제공 = 연합뉴스&줌인터넷®

"이해관계 복잡 실현 개연성 낮아…공천경쟁 치열 우려"

김진표 국회의장과 악수하는 윤석열 대통령
김진표 국회의장과 악수하는 윤석열 대통령

(서울=연합뉴스) 안정원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이 2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2023년 신년인사회'에 입장하며 김진표 국회의장과 악수하고 있다. 2023.1.2 jeong@yna.co.kr

(부산=연합뉴스) 오수희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이 던진 중대(中大)선거구제 도입을 두고 부산 여야 정당은 엇갈린 반응을 내면서도 이해득실 계산에 복잡한 표정이다.

윤 대통령은 최근 언론 인터뷰에서 "중대선거구제로 대표성을 강화하는 방안을 검토해볼 필요가 있다"면서 "모든 선거구를 중대선거구제로 하기보다는 지역 특성에 따라 한 선거구에서 2명, 3명, 4명을 선출하는 방법도 고려해볼 수 있다"고 말했다.

현행 소(小)선거구제는 1개 지역구에서 1인만 선출하는 방식으로, 한 표라도 더 많이 얻은 후보가 당선되는 승자독식 구조여서 사표(死票)가 다량 발생한다는 지적을 받는다.

중대선거구제는 지역구 몇 곳을 합쳐 한 개 선거구로 만든 뒤 다득표순으로 2인∼4인을 선출하는 방식으로 소선거구제의 폐단을 보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국민의힘 부산 현역 의원들 반응은 엇갈렸다.

조경태 부산시당 위원장은 "윤 대통령이 제시한 중대선거구제를 실현해야 정치개혁을 이룰 수 있다"면서 "정치적 유불리를 따지지 않고 지역을 위해 일할 수 있는 경쟁력 있는 후보를 뽑아야 한다"고 말했다.

반면, 국민의힘 부산 현역 의원 중 초선들은 우려 섞인 전망을 했다.

한 초선 의원은 "대통령이 던진 화두라 대놓고 반대 의견을 말할 수 없는 형편"이라면서도 "인지도가 낮은 초선 의원들 사이에선 중대선거구제가 불리할 수밖에 없고, 총선 공천 경쟁이나 계파싸움이 심화할 수 있다는 전망이 우세하다"고 전했다.

국회 정치개혁특위
국회 정치개혁특위

(서울=연합뉴스) 백승렬 기자 = 7일 국회에서 열린 정치개혁특별위원회 전체회의에서 남인순 위원장이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2022.9.7 [국회사진기자단] srbaek@yna.co.kr

더불어민주당 부산 정치인들은 비판적인 입장을 내놨다.

국회 정치개혁특위 간사인 전재수 의원은 "지역주의 타파와 경쟁의 정치질서 구축, 정치 생태계 다양화를 위해 중대선거구제를 도입해야 한다"면서도 "한 지역구에서 최소 4인 이상 뽑는 방식이 바람직하지만, 여야 합의가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전 의원은 "현재 18석인 부산 총선 지역구를 3개 권역(각 6석) 혹은 4개 권역(5석 2곳, 4석 2곳)으로 나눠 총선을 진행하면 군소정당이 국회에 입성할 수 있는 가능성이 커진다"고 주장했다.

서은숙 민주당 부산시당 위원장은 "윤 대통령이 던진 중대선거구제는 진정한 정치개혁 의지는 없는 것"이라며 "중대선거구 도입으로 2∼3석 더 얻는 것보다 현행 소선거구제를 유지하면서 권역별 비례대표제를 도입하는 게 더 낫다"고 말했다.

차재권 부경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윤 대통령의 중대선거구제 제안은 정치적 의도가 다분한 데다 당사자 간 이해관계가 복잡하고 시간도 빠듯해 내년 총선에 중대선거구제가 도입될 가능성은 높지 않다"고 진단했다.

osh9981@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
오래 머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