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제주 해양보호구역 확대 지정해야"…후보지 8곳 제안

송고시간2023-01-03 13:38

beta

제주 바다 환경을 지키기 위해 더 많은 해역을 해양보호구역으로 지정해야 한다는 제안이 나왔다.

제주환경운동연합은 제주도 해양보호구역 확대를 위한 후보지 조사 결과를 3일 발표했다.

보호구역 후보지로 해양생물보호구역 2곳(가파도∼차귀도 남방큰돌고래 보호구역, 대정읍 하모달랑게 보호구역), 해양생태계보호구역 2곳(차귀도, 성산읍 시흥·오조리 해역), 해양경관보호구역 3곳(사계·신양·중문 해안사구 해역), 연안습지보호구역 1곳(오조리) 등 8곳을 제안했다.

요약 정보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줄인 '세 줄 요약' 기술을 사용합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과 함께 읽어야 합니다. 제공 = 연합뉴스&줌인터넷®

제주환경운동연합 조사 보고서 발간

(제주=연합뉴스) 전지혜 기자 = 제주 바다 환경을 지키기 위해 더 많은 해역을 해양보호구역으로 지정해야 한다는 제안이 나왔다.

제주도 해양보호구역 확대를 위한 후보지 조사 보고서 표지
제주도 해양보호구역 확대를 위한 후보지 조사 보고서 표지

[제주환경운동연합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제주환경운동연합은 제주도 해양보호구역 확대를 위한 후보지 조사 결과를 3일 발표했다.

이 단체는 "사면이 바다인 제주도의 특성상 해양환경과 생태계가 도민사회에 미치는 영향이 막대함에도 보전은 미흡하다"며 "제주도에는 2010년 이후 지정된 해양보호구역이 단 두 곳에 불과하며, 이마저도 2016년 이후로는 지정된 곳이 단 한 곳도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제주도는 2028년까지 해양을 실질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구역을 제주 해역의 10%까지 늘리겠다는 계획이지만 지금의 속도로는 사실상 달성이 불가능하며, 국제적 수준인 30%까지 올리려면 해양보호구역에 대한 정책적 관심과 실행이 절대적으로 필요하지만 현 도정의 보전정책으로는 한계가 명확하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보호구역 후보지로 해양생물보호구역 2곳(가파도∼차귀도 남방큰돌고래 보호구역, 대정읍 하모달랑게 보호구역), 해양생태계보호구역 2곳(차귀도, 성산읍 시흥·오조리 해역), 해양경관보호구역 3곳(사계·신양·중문 해안사구 해역), 연안습지보호구역 1곳(오조리) 등 8곳을 제안했다.

이와 함께 이 단체는 문섬, 추자도, 토끼섬 주변 해역 등 이미 지정된 해양보호구역 관리 실태를 조사한 결과도 발표했다.

이 단체는 "해양보호구역 관리 기본계획에 따른 시행계획이 제대로 수립되지 않고 있고 주민에 대한 홍보와 교육도 이뤄지지 않고 있으며, 심지어 문섬 해역의 경우 관광잠수함에 의한 직접적인 파괴와 훼손이 발생함에도 해양수산부와 제주도는 손을 놓고 있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당연히 제정돼야 하는 해양보호구역 관리 조례조차 제정되지 않아 관리에 큰 허점을 만들고 있는 것이 확인됐다"고 전했다.

정봉숙 제주환경운동연합 공동의장은 "지속가능한 바다가 곧 지속가능한 우리를 담보하고 있는 만큼 해양보호구역 확대에 제주도가 정책적인 관심과 노력을 다해주길 바란다"고 밝혔다.

atoz@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
댓글 많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