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중국발 해외유입 확진자 비중 1.1%→14.2% 급증…방역강화 검토(종합)

송고시간2022-12-28 16:00

beta

지난 한 달 사이 코로나19 해외 유입 확진자 중 중국 입국자의 비중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방역 당국은 중국 입국자가 늘어날 것으로 보고 추가적인 방역 조치를 고민하고 있다.

28일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에 따르면 지난달 해외 유입 확진자 1천750명 중 1.1%인 19명이 중국에서 입국한 사람이었지만, 이달 1일~27일 해외 유입 확진자 1천777명 중 중국발 확진자 수(253명)가 차지하는 비중은 14.2%까지 올라왔다.

요약 정보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줄인 '세 줄 요약' 기술을 사용합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과 함께 읽어야 합니다. 제공 = 연합뉴스&줌인터넷®

방역당국 "중국 코로나 특성변화 가능성…中입국 확진자 전장유전체분석"

BN.1 검출률 20.6→24.4%, 확산세 지속…中유행 BF.7은 줄어

"BF.7, 검출속도 25% 빠르고 면역회피…중증도 증가 보고 없어"

코로나 신규확진 7만5744명
코로나 신규확진 7만5744명

(서울=연합뉴스) 한종찬 기자 = 코로나19 겨울 재유행이 계속되는 가운데 22일 오전 서울 용산구보건소에 마련된 임시선별검사소에서 시민들이 검사를 받기 위해 대기하고 있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22일 0시 기준 국내 코로나19 누적 확진자는 7만5744명 증가한 2846만6390명으로 나타났다. 2022.12.22 saba@yna.co.kr

(서울=연합뉴스) 김병규 기자 = 지난 한 달 사이 코로나19 해외 유입 확진자 중 중국 입국자의 비중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방역 당국은 중국 입국자가 늘어날 것으로 보고 추가적인 방역 조치를 고민하고 있다.

28일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에 따르면 지난달 해외 유입 확진자 1천750명 중 1.1%인 19명이 중국에서 입국한 사람이었지만, 이달 1일~27일 해외 유입 확진자 1천777명 중 중국발 확진자 수(253명)가 차지하는 비중은 14.2%까지 올라왔다.

중국발 확진자의 수와 해외 유입 확진자 중 중국에서 온 사람의 비율이 수직상승한 것이다.

이달 들어 중국에서 코로나19 유행이 급증한 것이 국내 유행에까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대만 중앙통신사 등은 인터넷에 유출된 중국 국가위생건강위원회(위건위)의 회의 문건을 인용해 "이달 1~20일 중국 전체 인구의 17.56%가 감염됐다"고 보도한 바 있다.

중국발 확진자의 증가세는 중국 정부가 입국 규제를 해제할 움직임을 보이는 만큼 더 가팔라질 것으로 우려된다.

방역 당국은 특히 중국 내 대규모 유행으로 인해 새로운 변이가 나타날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

임숙영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 상황총괄단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중국의 코로나19 환자 급증세와 관련해 "코로나가 급증하고 있고 BF.7이 많이 발생하고 있다"며 "이와 관련해 특성 변화가 있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면밀히 감시하겠다"고 말했다.

임 단장은 "지난 16일부터 중국 유입 확진자 모두에 대해 전장유전체 분석을 실시하고 있다"며 "이를 통해 변이 바이러스에 대해 철저히 감시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임 단장은 이어 "중국에서 입국 규제 완화가 예고돼 있는 상황이어서 그 영향에 대해 정부 안에서 다각도로 평가하고 있다"며 "한국으로의 여행객 증가, 이와 관련한 확진자의 증가가 예측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중국으로부터의 입국자에 대해 발열 기준을 강화했고, 유증상자의 동행자에 대해서도 검사를 실시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실내마스크 의무→권고 전환예고…시점은 확진 등 '기준 충족시'
실내마스크 의무→권고 전환예고…시점은 확진 등 '기준 충족시'

(서울=연합뉴스) 류효림 기자 = 방역당국이 코로나19 방역조치인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를 단계적으로 해제해 '권고'로 전환하기로 했다. 당국은 다만 의무 해제의 시점을 구체적으로 예고하는 대신 확진자와 위중증 추세 등 의무 해제 기준을 제시했다. 사진은 23일 서울의 한 대형 쇼핑몰에 비치된 실내 마스크 착용 안내문 모습. 2022.12.23 ryousanta@yna.co.kr

정부는 지난 16일 중국을 인천공항 타깃 검역 대상국에 추가했다. 이에 따라 중국발 입국자에 대해서는 유증상 시 동반자에 대한 검사와 강화된 발열 기준(37.5도→37.3도)을 적용하고 있다.

방역 당국은 이런 조치에 더해 추가적인 방역 대책을 고민하고 있다. 중국을 방역강화 대상국가로 지정하거나 입국 검사를 강화할 가능성이 있다. 일본의 경우 30일부터 중국에서 입국하는 사람 전원에 대해 코로나19 검사를 하기로 했다.

조규홍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차장(보건복지부 장관)은 이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회의에서 "감기약 등 국내 물자 수급과 방역 관리에 문제가 생기지 않도록 관련 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하면서 조치를 신속하게 취해나가겠다. 자세한 내용은 모레 중대본 회의에서 논의한 후 발표하겠다"고 말했다.

중국발 확진자의 유입이 늘어나면서 중국에서 유행 중인 BF.7의 검출률은 해외 유입 사례만 볼 때 12월 2주 3.8%에서 12월 3주 5.4%로 높아졌다.

임 단장은 BF.7 변이와 관련해 "중국에서 발생 증가가 보고되고 있지만 전세계의 점유율은 다소 감소하는 추세"라며 "검출 속도가 BA.5 대비 25%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면역 회피 능력이 있지만, 유효한 항체 치료제가 있고 항바이러스제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증도가 증가하고 있다는 보고도 없다"고 설명했다.

국내에서는 우세종인 BA.5 변이의 검출률이 줄어드는 반면 다른 변이의 검출률은 늘고 있다.

국내 감염과 해외 유입 사례를 합한 검출률은 BA.5가 12월 2주 52.0%에서 3주 46.1%로 줄어든 반면, BN.1 변이의 검출률은 그 사이 20.6%에서 24.4%로 다시 상승했다. 다만 BF.7의 검출률은 4.0%에서 3.7%로 소폭 낮아졌다.

중국 제로코로나 마침표…평일 쇼핑몰 식당에 손님 늘어
중국 제로코로나 마침표…평일 쇼핑몰 식당에 손님 늘어

(베이징=연합뉴스) 조준형 특파원 = 중국 정부가 26일 입국 시 의무격리를 폐지하는 등 3년 가까이 이어온 '제로 코로나' 정책에 마침표를 찍었다.
이달 들어 한동안 코로나19 급증세 속에 한산했던 쇼핑몰 등 공공장소의 왕래객 규모도 감염 후 회복한 사람들의 일상 복귀와 함께, 조금씩 회복세를 보이고 있고, 일시 영업을 중단했던 매장, 식당 등도 하나둘 문을 다시 열고 있다.
베이징 차오양구 소재한 쇼핑몰 내부의 27일(오른쪽 사진)과 지난 14일(왼쪽 사진) 점심시간대 풍경이다. 2022.12.27 jhcho@yna.co.kr

bkkim@yna.co.kr

유튜브로 보기

https://youtu.be/tARntJQOlNc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
오래 머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