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LH, 공공재개발 원주민이 원하는 재정착 방안 만든다

송고시간2022-12-26 09:50

beta
세 줄 요약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27일 공공재개발 원주민 맞춤형 재정착 지원을 위해 '공적역할 강화를 위한 공공재개발 주거 및 생활안정방안 연구용역'의 착수보고회를 한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연구용역은 공공재개발사업 추진과정에서 원주민들의 재정착률을 높이고 주민들의 주거 및 생활안정 기반을 강화할 수 있는 종합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기 위해 추진됐다.

LH는 이번 연구 용역을 통해 사업 준공 이후 주민들이 새로운 인프라로 더욱 편리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지구 여건과 원주민들의 사회·경제적 특성 등 다양한 요인들을 고려하고 주민들이 실질적으로 원하는 지원방안을 발굴한다는 계획이다.

요약 정보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줄인 '세 줄 요약' 기술을 사용합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과 함께 읽어야 합니다. 제공 = 연합뉴스&줌인터넷®
이 뉴스 공유하기
본문 글자 크기 조정
전농9 공공재개발 사업지 모습[LH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전농9 공공재개발 사업지 모습[LH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서미숙 기자 =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27일 공공재개발 원주민 맞춤형 재정착 지원을 위해 '공적역할 강화를 위한 공공재개발 주거 및 생활안정방안 연구용역'의 착수보고회를 한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연구용역은 공공재개발사업 추진과정에서 원주민들의 재정착률을 높이고 주민들의 주거 및 생활안정 기반을 강화할 수 있는 종합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기 위해 추진됐다.

연구 대상지는 전농9·장위9·성북1·거여새마을·봉천13구역으로 서울시 내 공공재개발 사업지구 12개 중 사업 진행 단계 등을 고려해 선정했다고 LH는 설명했다.

LH는 이번 연구 용역을 통해 사업 준공 이후 주민들이 새로운 인프라로 더욱 편리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지구 여건과 원주민들의 사회·경제적 특성 등 다양한 요인들을 고려하고 주민들이 실질적으로 원하는 지원방안을 발굴한다는 계획이다.

연구용역은 사단법인 한국주거학회 컨소시엄이 맡는다.

sms@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
오래 머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