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교육부, 고교 전 학년 내신 절대평가 도입 검토

송고시간2022-12-12 18:54

beta

교육부가 고등학교 2∼3학년에 적용 예정이던 내신 성취평가(절대평가)를 1∼3학년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한다.

교육부 관계자는 12일 "고등학교 전 학년에 성취평가를 도입할지 여부를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국민일보와의 인터뷰에서 내신 9등급제를 없애기 위해 고교학점제를 도입하는 만큼 공통과목에도 9등급제 대신 A∼E 성취평가 도입을 검토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요약 정보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줄인 '세 줄 요약' 기술을 사용합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과 함께 읽어야 합니다. 제공 = 연합뉴스&줌인터넷®
교실
교실

[연합뉴스TV 제공]

(세종=연합뉴스) 김수현 기자 = 교육부가 고등학교 2∼3학년에 적용 예정이던 내신 성취평가(절대평가)를 1∼3학년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한다.

교육부 관계자는 12일 "고등학교 전 학년에 성취평가를 도입할지 여부를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앞서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국민일보와의 인터뷰에서 내신 9등급제를 없애기 위해 고교학점제를 도입하는 만큼 공통과목에도 9등급제 대신 A∼E 성취평가 도입을 검토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이 부총리의 방침대로라면 고교 1학년에도 절대평가가 확대되는 셈이다.

교육부는 지난해 8월 '2025년 고교학점제 전면 적용을 위한 단계적 이행 계획'을 발표하면서 2∼3학년이 주로 듣는 선택과목에 성취평가제를 도입한다고 밝힌 바 있다.

1학년이 주로 수업받는 공통과목에는 현재와 같이 상대평가인 9등급제를 성취평가와 병기한다고 발표했다.

교육부 관계자는 "(고등학교 1학년 때 9등급제를 유지하면) 가장 쉬운 1학년 공통과목의 대입 영향력이 지나치게 커질 수 있다는 우려가 있었다"며 "1학년 때 석차 등급이 저조한 학생들은 2∼3학년 때 대학수학능력시험에 몰입해 학교 수업을 소홀히 할 수 있다는 의견도 있었다"며 배경을 설명했다.

교육부는 관계자들의 의견을 수렴해 내년 2월 고교 내신 절대평가 확대 여부를 발표한다.

porque@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
오래 머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