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MZ세대가 바라는 국민연금 개혁은…"우리도 받는다는 확신 필요"(종합)

송고시간2022-12-12 16:12

beta
세 줄 요약

20∼30대 청년들은 국민연금과 관련해 '신뢰'와 '세대 간 형평성' 확보가 중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보건복지부는 12일 오후 서울 중구 소재 한국보건의료정보원에서 내가만드는복지국가 등 시민단체가 추천한 청년들과 '제2차 청년 대상 국민연금 간담회'를 개최했다.

대학생, 직장인, 자영업자 등 MZ세대(1980년대 초∼2000년대 초 출생) 참석자들은 재정 고갈 우려가 제기되는 국민연금을 자신들도 받을 수 있는지 정부가 믿음을 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요약 정보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줄인 '세 줄 요약' 기술을 사용합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과 함께 읽어야 합니다. 제공 = 연합뉴스&줌인터넷®
이 뉴스 공유하기
본문 글자 크기 조정

복지부, 제2차 청년 대상 국민연금 간담회…신뢰·세대 형평성 요구

청년 대상 국민연금 간담회
청년 대상 국민연금 간담회

(서울=연합뉴스) 한종찬 기자 = 이기일 보건복지부 제1차관이 12일 오후 서울 중구 한국보건의료정보원에서 열린 제2차 청년 대상 국민연금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2.12.12 saba@yna.co.kr

(서울=연합뉴스) 김영신 기자 = 20∼30대 청년들은 국민연금과 관련해 '신뢰'와 '세대 간 형평성' 확보가 중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보건복지부는 12일 오후 서울 중구 소재 한국보건의료정보원에서 내가만드는복지국가 등 시민단체가 추천한 청년들과 '제2차 청년 대상 국민연금 간담회'를 개최했다.

대학생, 직장인, 자영업자 등 MZ세대(1980년대 초∼2000년대 초 출생) 참석자들은 재정 고갈 우려가 제기되는 국민연금을 자신들도 받을 수 있는지 정부가 믿음을 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국민연금 지급이 보장된다 하더라도 내는 만큼 돌려받을 수 있을지, 국민연금 수익률을 어떻게 높일지 등에 대한 우려가 컸다.

대학생 문선우(26) 씨는 "아직 국민연금에 가입하지 않은 학생들도 연금을 훗날 받을 수 있을지 두려움이 있다"며 "이런 우려를 불식할 정부의 신뢰 제고 방안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작가 송가연(39) 씨는 "국민연금 지급이 확실하겠지만 근로 소득이 없는 은퇴 후 노년에 국민연금만으로 생활을 하기 어렵다는 불신이 있다"며 "그런데도 지금 계속 내는 것이 맞는지 의문이 든다"고 우려했다.

복지부는 공적 연금과 사적 연금을 비롯한 다양한 연금 체계 속에서 국민연금은 가장 안전하고 기본적인 연금으로서 역할을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국민연금 지급에 대한 불안을 불식하기 위해 국가지급보장을 제도로 명문화할 수 있다는 것이 정부 입장이다.

발언하는 이기일 차관
발언하는 이기일 차관

(서울=연합뉴스) 한종찬 기자 = 이기일 보건복지부 제1차관이 12일 오후 서울 중구 한국보건의료정보원에서 열린 제2차 청년 대상 국민연금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2.12.12 saba@yna.co.kr

청년들은 또한 연금개혁 시 소득대체율과 보험료율, 세대 간 형평성을 모두 고려한 제도 개선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한 30대 직장인은 "혜택은 앞세대가 더 많이 받고 부담은 후세대가 더 많이 지는 구조에 대한 반감이 크다"며 "본인이 낸 만큼 받아가도록 하는 제도 설계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국민연금에 대한 국민 인식을 긍정적으로 개선하는 정부의 노력이 더욱 강화돼야 한다는 제언도 많았다.

대학생 강소연(23) 씨는 "요즘 젊은 사람들은 위험이 있어도 더 큰 수익을 바라는 성향이 있다"며 "수익률이 낮은 국민연금에 큰 이점이 없다고 생각하는 이들의 인식을 바꿔줄 홍보·교육 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정부는 올해 8월부터 국민연금과 관련한 이해 관계자들과 간담회를 진행해 왔다. 제1차 청년 간담회는 지난달 23일 열렸다.

이기일 복지부 제1차관은 "연금개혁이 미뤄질수록 청년이 미래에 짊어질 부담이 점점 더 커진다는 사실을 생각하면 연금개혁은 더는 미룰 수 없는 사명"이라며 "청년들의 기대와 우려를 기억해 정확하고 투명한 정보를 전달하고, 청년들이 공감하는 상생의 연금 개혁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앞으로도 연령대별 국민, 주요 이해관계자 등의 의견을 수렴하는 자리를 계속 마련할 계획이다.

shiny@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
오래 머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