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시진핑, 걸프 정상들에 "석유·가스 위안화로 결제…수입 확대"(종합2보)

송고시간2022-12-10 04:03

beta

중국 관영 중앙TV에 따르면 시 주석은 9일(현지시간)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서 열린 중국-걸프 아랍국가협력위원회 정상회의 기조연설을 통해 향후 3∼5년간 중점적으로 추진할 협력 사안에 대해 언급하며 이 같은 구상을 밝혔다.

시 주석은 "중국은 걸프협력회의(GCC·사우디·UAE·쿠웨이트·카타르·오만·바레인 참여) 국가로부터 원유와 액화천연가스 수입을 계속 확대하고 석유 및 가스 개발, 청정 저탄소 에너지 기술 협력을 강화하며 석유 및 가스 무역에 대해 위안화를 사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위안화 결제를 당부하는 것과 함께 "중국은 GCC 국가들로부터 많은 양의 석유를 지속해서 수입하고 액화천연가스 수입을 확대할 것"이라고 구애했다.

요약 정보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줄인 '세 줄 요약' 기술을 사용합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과 함께 읽어야 합니다. 제공 = 연합뉴스&줌인터넷®

대만유사시 美제재에도 에너지 도입선 안전 확보 의미

중-아랍연맹 회의 참석 이어 이라크 등과 일대일 회동도

중국-GCC 정상회의
중국-GCC 정상회의

(리야드 AFP=연합뉴스) 9일(현지시간) 사우디아라비아 수도 리야드의 압둘아지즈 국왕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중국-GCC(걸프협력회의) 정상회의에서 참석자들이 단체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왼쪽에서 네번째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고 그 오른쪽은 무함마드 빈살만 사우디 왕세자. [UAE 대통령실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2022.12.9 photo@yna.co.kr

(요하네스버그 베이징=연합뉴스) 김성진 조준형 특파원 =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9일(현지시간) 걸프지역 아랍 국가 지도자들과 회동한 자리에서 석유 및 가스 수입에 대한 위안화 결제를 시행할 뜻을 밝혔다 .

중국 관영 중앙TV에 따르면 시 주석은 9일(현지시간)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서 열린 중국-걸프 아랍국가협력위원회 정상회의 기조연설을 통해 향후 3∼5년간 중점적으로 추진할 협력 사안에 대해 언급하며 이 같은 구상을 밝혔다.

시 주석은 "중국은 걸프협력회의(GCC·사우디·UAE·쿠웨이트·카타르·오만·바레인 참여) 국가로부터 원유와 액화천연가스 수입을 계속 확대하고 석유 및 가스 개발, 청정 저탄소 에너지 기술 협력을 강화하며 석유 및 가스 무역에 대해 위안화를 사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로이터 통신은 시 주석이 이 대목에서 '상하이 석유·가스 거래소'를 위안화 결제의 플랫폼으로 충분히 활용할 것이라고 말했다고 전했다.

석유 및 가스 수입에 대한 위안화 결제 추진은 미국 등 서방이 중국에 대한 에너지 공급을 제약하는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우회할 수 있는 통로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전략적 의미가 작지 않아 보인다.

시 주석은 이번 사우디 방문을 통해 대만 유사시 등 급박한 상황에서도 끊어지지 않는 에너지 도입선을 확보하는 데 상당한 공을 들이는 모양새다.

그는 중국과 걸프 국가 간 에너지 및 안보 분야의 긴밀한 관계를 치하했다고 AFP통신 등이 전했다.

그는 위안화 결제를 당부하는 것과 함께 "중국은 GCC 국가들로부터 많은 양의 석유를 지속해서 수입하고 액화천연가스 수입을 확대할 것"이라고 구애했다.

이와 함께 "중국은 GCC 국가들이 자체 안보를 유지하는 데 계속해서 굳게 지지할 것"이라며 "걸프 지역을 위한 집단 안보 체제를 구축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중국과 걸프국가 간 평화적 핵이용 기술 포럼을 설립하고 중국-걸프 국가간 핵안보 시범센터를 공동으로 건설해 GCC 국가들의 평화적 핵이용과 핵기술 분야 인재를 양성할 것"이라고 밝혔다. 센터에서 훈련할 인재는 300명이다.

시 주석은 이날 하루 동안 걸프지역, 레반트(현재의 시리아, 레바논, 이라크 지역), 아프리카를 아우르는 광의의 아랍연맹(AL) 국가들과 회동하고 제1회 중국·아랍 정상회의와 별도로 튀니지, 이라크, 소말리아 정상들과 일대일 회동도 했다.

사우디 실세인 무함마드 빈살만 왕세자는 중국-GCC 정상회의를 시작하면서 "중국과 관계에서 역사적인 새 시기"라고 평가했다.

시 주석도 "역사의 교차로에 서서 우리는 중국과 GCC 간 우호의 전통을 새롭게 해야 한다"고 화답했다.

빈살만 왕세자는 또 중국과 걸프 국가들이 공통의 자유무역협정(FTA) 지대를 창설할 가능성에 관해 논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중국과 걸프 국가 간 FTA는 지난 20년간 논의만 있었을 뿐 그동안 별다른 진전을 보지 못했었다.

그는 앞서 걸프 국가들이 세계의 에너지 필요에 부응하는 안전하고 신뢰할 만한 원천으로 남을 것이라면서 석유 가스가 수십 년간 계속해서 중요한 에너지원이 될 것임을 강조했다 .

시 주석은 빈살만 왕세자와 만난 자리에서 "걸프 국가들과 중국은 공동 투자 센터를 설립하고 그린 에너지 투자에 대한 협력을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시 주석은 이날 아랍 정상회의 참석을 끝으로 사흘간의 사우디 방문을 마무리했다. 코로나바이러스 팬데믹(전염병의 세계적 대유행)이 시작된 이후 시 주석이 중국 밖으로 여행을 한 것은 이번이 겨우 세번째다.

아랍-중국 정상회의
아랍-중국 정상회의

(리야드 AFP=연합뉴스) 9일(현지시간) 사우디아라비아 수도 리야드에서 열린 아랍-중국 정상회의 모습. 왼쪽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가운데는 무함마드 빈 살만 사우디 왕세자, 오른쪽은 아흐메드 아불 게이트 아랍연맹 사무총장. [사우디 관영 SPA 통신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2022.12.9 photo@yna.co.kr

sungjin@yna.co.kr

유튜브로 보기

https://youtu.be/BN5mauTtXT8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
오래 머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