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화물연대 파업에 71% "복귀후 협상" 21% "관철때까지 계속"[한국갤럽]

송고시간2022-12-09 11:59

beta

국민 10명 중 7명은 총파업 중인 화물연대가 우선 업무복귀 후 정부와 협상해야 한다는 의견을 내놨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9일 나왔다.

한국갤럽이 지난 6∼8일 전국 성인 남녀 1천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화물연대 파업에 대해 '주장이 관철될 때까지 계속해야 한다'는 21%, '우선 업무 복귀 후 협상해야 한다'는 71%로 집계됐다.

요약 정보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줄인 '세 줄 요약' 기술을 사용합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과 함께 읽어야 합니다. 제공 = 연합뉴스&줌인터넷®

정부 파업 대응엔 31% "잘하고 있다" 51% "잘못하고 있다"

안전운임제엔 48% "적용범위 확대·지속시행" 26% "현제도 3년 더 연장"

화물연대 총파업 철회 찬반 투표 시작
화물연대 총파업 철회 찬반 투표 시작

(대전=연합뉴스) 이주형 기자 =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본부(화물연대) 대전본부 소속 조합원들이 9일 오전 대전 대덕구 대덕우체국 앞 거점 시위 현장에서 총파업 철회 찬반 투표를 진행하고 있다. 2022.12.9 coolee@yna.co.kr

(서울=연합뉴스) 이슬기 기자 = 국민 10명 중 7명은 총파업 중인 화물연대가 우선 업무복귀 후 정부와 협상해야 한다는 의견을 내놨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9일 나왔다.

한국갤럽이 지난 6∼8일 전국 성인 남녀 1천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화물연대 파업에 대해 '주장이 관철될 때까지 계속해야 한다'는 21%, '우선 업무 복귀 후 협상해야 한다'는 71%로 집계됐다.

응답자의 8%는 의견을 유보했다.

화물차 안전운임제의 적용 범위를 확대·지속 시행해야 한다고 답한 응답자는 48%, 현행 제도를 3년 더 연장해야 한다는 응답자는 26%로 나타났다.

의견 유보는 26%로 집계됐다.

화물차 안전운임제는 기사의 최소 운송료를 보장하는 제도다. 2020년 시멘트와 컨테이너 화물에만 한시 도입돼 올해 말 종료를 앞두고 있다.

안전운임제의 적용 범위를 시멘트·컨테이너 화물 외로 확대하고 지속적으로 시행해야 한다는 주장은 화물연대의 요구다. 시멘트·컨테이너 화물에만 3년 더 연장 시행해야 한다는 주장은 화물연대 파업전 정부 추진안이다.

한국갤럽은 "안전운임제와 관련해 '의견유보'층이 넷 중 한 명(26%)이었다"며 "이런 노동계 문제는 노사정(勞使政) 각각의 주장을 헤아리기가 쉽지 않고, 경제·사회적 파급이 전 유권자에게 고루 미치지 않아 범국민적 공감을 얻기도 까다로워 보인다"고 분석했다.

정부의 노동계 파업 대응에 대해선 '잘하고 있다'가 31%, '잘못하고 있다'가 51%로 집계됐다.

한국갤럽은 "일반 시민은 화물차 기사의 안전과 운임을 보장하는 최소한의 장치가 필요하다고 봤지만 파업 장기화는 바라지 않았다"며 "이런 맥락에서 보면 응답자들이 정부의 화물 노동 여건 개선 노력은 미흡하다고 판단하고 있지만, 업무개시명령 등 파업 중단 조치에는 공감하는 것으로도 해석할 수 있겠다"고 덧붙였다.

이번 조사의 오차범위는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다. 무선(90%)·유선(10%) 전화 면접 방식으로 진행됐고 응답률은 10.0%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wise@yna.co.kr

유튜브로 보기

https://youtu.be/vw-ByLXxXlM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
오래 머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