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사회를 양분하는 소셜미디어…노벨평화상 수상자가 보내는 경고

송고시간2022-12-08 17:48

beta

2021년 노벨평화상을 받은 필리핀 언론인 마리아 레사는 수상 연설에서 이같이 말했다.

저자가 책에서 주목하는 것은 소셜미디어와 권력의 합종연횡, 그리고 이로 인한 민주주의의 위기다.

요약 정보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줄인 '세 줄 요약' 기술을 사용합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과 함께 읽어야 합니다. 제공 = 연합뉴스&줌인터넷®

마리아 레사 회고록 '권력은 현실을 어떻게 조작하는가' 출간

마리아 레사
마리아 레사

[EPA=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송광호 기자 = "기자로서 우리가 소중히 여기는 가치와 사명에 충실하기 위해 물러서지 않기 위해, 너무 많은 희생을 강요당하고 있는 전 세계 모든 언론인을 대표하여 여러분 앞에 섰습니다."

2021년 노벨평화상을 받은 필리핀 언론인 마리아 레사는 수상 연설에서 이같이 말했다. 언론인이 노벨평화상을 받은 건 1935년 독일 기자 카를 폰 오시에츠키 이후 86년 만이었다. 그는 러시아 기자 드미트리 무라토프와 함께 노벨평화상 공동수상자로 선정됐다.

최근 번역돼 출간된 '권력은 현실을 어떻게 조작하는가'(북하우스)는 레사가 쓴 회고록이다. 자신의 삶에 관해 썼지만, 그 삶 속에 깃든 필리핀의 척박한 언론 현실이 자연스레 드러난다.

저자가 책에서 주목하는 것은 소셜미디어와 권력의 합종연횡, 그리고 이로 인한 민주주의의 위기다.

예컨대 올해 치러진 대선이 이런 소셜미디어와 권력의 영합을 단적으로 보여준다고 저자는 말한다.

대선에서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주니어는 야당 후보 레니 로브레도를 꺾고 대통령에 당선됐다.

마르코스 주니어는 필리핀을 21년간 통치하다 '피플 파워 혁명'으로 쫓겨난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전 대통령의 외동아들이다. 마르코스 전 대통령은 국민 돈 100억 달러를 훔친 혐의로 기소된 바 있다.

저자는 "이 선거는 허위 정보와 상시 정보 작전이 소셜미디어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주는 시연장이 됐다"며 "2014년과 2022년 사이에 소셜미디어는 마르코스를 추방자에서 영웅으로 바꿔놓았다"고 주장한다.

마리아 레사
마리아 레사

[EPA=연합뉴스]

아울러 그는 새로운 기술과 낡은 권력이 결합하고 서로 이용하면서, 한때 시민 참여와 새로운 시대의 민주주의를 열어젖힐 도구로 환영받던 소셜미디어가 사회를 두 쪽으로 나누는 무기가 됐다고 지적한다.

이제 사람들은 사실보다는 소셜미디어의 '친구의 친구들' 말을 더 신뢰하고, 이를 강화하는 알고리즘은 가짜 뉴스와 허위 정보를 전례 없는 규모와 속도로 확산시키고 있다는 것이다.

그 과정에서 한때 정보 문지기 역할을 하던 언론은 영향력을 급속도로 상실하고 있다고 저자는 우려한다.

저자는 이 모든 흐름이 민주주의의 몰락이라는 디스토피아적 결말을 향해 나아간다고 지적하면서 "소셜미디어를 믿지 말고, 다른 사람의 입장에 서보고, 휴대전화를 치우라"고 권고한다.

"민주주의는 취약하다. 우리는 모든 법, 모든 보호 장치, 모든 제도와 이야기 등 모든 부분을 위해 싸워야 한다. 아주 작은 상처라도 얼마든지 위험해질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김영선 옮김. 456쪽.

책 표지 이미지
책 표지 이미지

[북하우스 제공. 재판매 및 DB금지]

buff27@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
오래 머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