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中, 美 수출통제 대상 중국기업 조사 협조…긴장완화 신호?

송고시간2022-12-06 16:43

beta

미국 정부가 중국 기업을 수출 통제 대상으로 지정하기 위해 실시한 조사 작업에 중국 당국이 협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양국 관계 긴장 완화의 신호로 보인다고 블룸버그통신이 6일(현지시간) 관측했다.

중국 상무부는 미 당국의 잠정적인 수출통제 대상인 '미검증 명단'(unverified list)에 오른 자국 기업들이 미 당국의 관련 조사를 받는 것을 돕고 있다고 익명의 소식통이 블룸버그에 전했다.

요약 정보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줄인 '세 줄 요약' 기술을 사용합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과 함께 읽어야 합니다. 제공 = 연합뉴스&줌인터넷®
칭화유니그룹 자회사 YMTC(長江存儲)의 반도체 공장
칭화유니그룹 자회사 YMTC(長江存儲)의 반도체 공장

[YMTC 홈페이지 캡처]

(서울=연합뉴스) 이도연 기자 = 미국 정부가 중국 기업을 수출 통제 대상으로 지정하기 위해 실시한 조사 작업에 중국 당국이 협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양국 관계 긴장 완화의 신호로 보인다고 블룸버그통신이 6일(현지시간) 관측했다.

중국 상무부는 미 당국의 잠정적인 수출통제 대상인 '미검증 명단'(unverified list)에 오른 자국 기업들이 미 당국의 관련 조사를 받는 것을 돕고 있다고 익명의 소식통이 블룸버그에 전했다.

앞서 지난 10월 7일 미 상무부는 첨단 반도체 등의 중국 수출 통제 방침을 발표하면서 국영 반도체업체 양쯔메모리테크놀로지(YMTC) 등 중국 기업 31곳을 미검증 명단에 올렸다.

이들 기업은 60일간의 검증 기간에 자사 제품의 최종 소비자에 대한 더 자세한 정보를 미 정부에 제공하면 명단에서 빠질 수 있지만, 그렇지 않으면 강력한 무역 제재 대상인 '수출 통제 명단'(entity list)에 오를 수 있다.

이런 검증 과정에서 중국 기업들이 최종 소비자 정보를 미국 측에 제공하도록 중국 당국이 도왔다는 것이다.

소식통에 따르면 당초 검증 마감일이 전날이었지만, 미 행정부는 이날 중국 기업들의 수출 통제 명단을 발표하지 않을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어떤 중국 기업들이 미국 정부의 검증 절차를 거쳤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이 같은 움직임은 지난달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열린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서 조 바이든 미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정상회담을 한 뒤 나온 양국 간 화해의 신호탄이라고 블룸버그는 해석했다.

dylee@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
댓글 많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