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수에서 분리한 미생물 토대로 암세포 억제 펩타이드 개발
송고시간2022-12-05 12:00
(서울=연합뉴스) 이재영 기자 = 환경부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은 담수에서 분리한 방선균 '마이크로모노스포라'의 유전체 정보를 활용, 아미노산을 조합해 암세포 생장을 억제하는 펩타이드 5종을 개발했다고 5일 밝혔다.
방선균은 방사선균이라고도 불리며 곰팡이 균사와 같이 실 모양으로 연결된 형태로 증식하는 원핵생물이다. 자연에는 다양한 방선균이 존재한다. 항생제 70%가 방선균에서 유래됐을 정도로 유용한 물질을 만드는 데 많이 활용된다.
낙동강생물자원관은 이번에 개발한 펩타이드 5종이 간암세포(HepG), 폐암세포(A549), 대장암세포(SW480) 생장을 모두 억제했다고 설명했다. 폐암세포 생장을 특히 억제했는데 한 펩타이드는 폐암세포를 투여 이틀 만에 절반 줄였다고 자원관 측은 설명했다.
자원관은 방선균 등 미생물 활용 시 배양액에서 물질을 추출·정제하는 방식이 주를 이루는 가운데 이번에는 균의 유전체 정보를 해독해 이를 통해 알아낸 아미노산 서열에서 필요한 부분만 남긴 뒤 토대로 따로 아미노산을 조합해 펩타이드를 만들어 더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
자원관 관계자는 "이번 방식을 사용하면 펩타이드 활용성은 증대되고 합성에 필요한 비용은 줄어 실용화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라고 말했다.
jylee24@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2022/12/05 12:00 송고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
오래 머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