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바다표범 또 떼죽음…러시아 해안에 2천500마리 사체 밀려와

송고시간2022-12-05 03:12

beta

개체 수가 급격히 줄어 멸종위기종으로 분류된 카스피해 바다표범 2천500마리의 사체가 러시아 해변으로 밀려왔다고 dpa 통신 등이 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러시아 당국은 바다표범 2천500마리의 사체가 러시아 남부 이슬람 자치공화국인 다게스탄 해안 곳곳에서 발견됐다고 밝혔다.

카스피해 바다표범의 사체 2천500마리는 지난 10년간 바다표범 대량 폐사 사례 가운데에서도 가장 큰 규모라고 러시아 당국은 설명했다.

요약 정보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줄인 '세 줄 요약' 기술을 사용합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과 함께 읽어야 합니다. 제공 = 연합뉴스&줌인터넷®
러시아 해변으로 밀려온 바다표범 사체
러시아 해변으로 밀려온 바다표범 사체

(AP=연합뉴스) 러시아 방송 RU-RTR이 4일 카스피해 러시아 해변으로 밀려온 바다표범들의 사체를 당국자들이 확인하는 모습을 보도했다. 2022. 12. 4 photo@yna.co.kr

(제네바=연합뉴스) 안희 특파원 = 개체 수가 급격히 줄어 멸종위기종으로 분류된 카스피해 바다표범 2천500마리의 사체가 러시아 해변으로 밀려왔다고 dpa 통신 등이 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러시아 당국은 바다표범 2천500마리의 사체가 러시아 남부 이슬람 자치공화국인 다게스탄 해안 곳곳에서 발견됐다고 밝혔다.

전날 700마리가 먼저 발견된 이후 확인된 사체의 수가 계속 늘고 있어 향후 떼죽음을 맞은 바다표범 개체 수는 더 늘어날 수도 있다고 dpa 통신은 전했다.

카스피해 바다표범의 사체 2천500마리는 지난 10년간 바다표범 대량 폐사 사례 가운데에서도 가장 큰 규모라고 러시아 당국은 설명했다.

세계 최대의 내해(內海)인 카스피해는 러시아와 카자흐스탄, 아제르바이잔, 이란, 투르크메니스탄 등 5개국에 둘러싸여 있다.

국제환경단체 등에 따르면 1900년대 초만 해도 100만 마리 이상이었던 카스피해 바다표범의 개체 수는 7만마리까지 감소했다. 대량 폐사한 바다표범이 카스피해 해안에서 밀려오는 일도 종종 발생했다.

석유 생산이 이뤄지는 카스피해에서 석유 유출로 인한 환경 오염과 기후변화, 남획 등이 바다표범의 집단 폐사를 부추기고 있다는 게 국제환경단체 등의 분석이다.

러시아 당국은 바다표범 사체에 대한 실험·분석을 통해 대량 폐사의 원인을 규명하기로 했다.

prayerahn@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
댓글 많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