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부자보고서] 한국 부자가 꼽은 단기 투자처는 '예·적금'

송고시간2022-12-04 09:00

beta

우리나라 부자들은 급격한 금리 인상을 경계하면서 향후 1년간 '예·적금'에 대한 투자를 늘리려는 의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KB금융지주 금융연구소는 금융자산을 10억원 이상 보유한 개인을 '한국 부자'로 정의하고 이들 400명을 설문한 결과를 토대로 한 '2022년 한국 부자 보고서'를 4일 발표했다.

단기 금융자산 운용 전략과 관련해서는 향후 '예·적금 투자를 늘리겠다'는 응답률이 29.0%를 차지해 다른 금융상품과 비교해 가장 높았다.

요약 정보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줄인 '세 줄 요약' 기술을 사용합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과 함께 읽어야 합니다. 제공 = 연합뉴스&줌인터넷®

장기 투자처는 '부동산'…최대 위험요인은 '금리 인상'

'가상자산 투자' 부자 비중 7.8%…70%가 손실 경험

고금리 정기예금
고금리 정기예금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오주현 기자 = 우리나라 부자들은 급격한 금리 인상을 경계하면서 향후 1년간 '예·적금'에 대한 투자를 늘리려는 의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장기 유망 투자처로는 부자 10명 중 4명이 '거주용 외 주택'을 꼽았다.

KB금융지주 금융연구소는 금융자산을 10억원 이상 보유한 개인을 '한국 부자'로 정의하고 이들 400명을 설문한 결과를 토대로 한 '2022년 한국 부자 보고서'를 4일 발표했다.

조사 결과 한국 부자의 47%는 향후 자산을 운용하는 데 있어 가장 우려되는 위험요인으로 '금리 인상'을 꼽았다.

이어 '인플레이션(물가 상승)'(39.8%), '부동산 규제'(35.8%)',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전쟁'(35.0%) 등이 뒤따랐다.

부자들은 금리 인상 등으로 인한 리스크가 큰 시기라고 판단하고 단기적으로는 현금을 확보하고, 달러화 매입을 계획하려는 경향을 보였다.

주식은 신규 자금을 투입하기에 적합한 시기를 살피기 위해 상황을 관망하고 있다는 답변이 많았다.

한국 부자의 단기 투자 방향
한국 부자의 단기 투자 방향

[KB금융지주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단기 금융자산 운용 전략과 관련해서는 향후 '예·적금 투자를 늘리겠다'는 응답률이 29.0%를 차지해 다른 금융상품과 비교해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 비중을 확대하겠다는 응답이 많았던 투자처는 '주식'으로 17.8%를 차지했는데, 작년(31.0%)에 비하면 비중이 크게 낮아졌다.

장기 유명 투자처(향후 3년간의 자산관리 방향)로는 '거주용 외 주택'을 꼽은 비중이 43.0%로 가장 많았다.

'거주용 부동산'(39.5%), '빌딩·상가'(38.0%), '토지·임야'(35.8%), '주식(31.0%)' 등이 뒤를 이었다.

지난해에는 가장 유망한 장기 투자처로 주식이 꼽혔으나, 올해는 선호도가 지난해 대비 29.5%포인트(p) 급락했다.

부동산 투자와 관련해 진행된 개인 심층 면접에서 응답자들은 "신규 투자보다 현금을 축적하고, 부동산 관련 정보를 모으며 투자 시기를 엿보고 있다"고 응답했다.

국내 부동산 투자를 통한 수익을 예상하기 어렵다고 판단하고 자녀에게 증여할 기회를 모색하거나, 해외 부동산으로 투자처를 확대하겠다는 응답도 나왔다.

한국 부자들은 비상장주식이나 가상자산 투자에는 부정적인 견해를 드러내는 비중이 높았다.

비상장주식에 투자하는 비중은 8.3%에 불과했고, '과거엔 투자했으나 현재는 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비중이 17.0%로 두 배가량 많았다.

비상장 투자 의향이 없는 이유로는 '투자 손실 위험이 커서'(49.8%)', '기존 투자로 충분해서(30.2%)', '기업가치를 평가할 수 있는 기준이 없어서(27.2%)' 등이 꼽혔다.

디지털자산(가상자산) 투자 의향
디지털자산(가상자산) 투자 의향

[KB금융지주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가상자산에 투자하는 비중은 7.8%로 작년(8.8%) 대비 1.0%포인트 감소했다. 부자의 평균 투자 금액은 8천720만원으로 작년(8천360만원)보다 소폭 늘었다.

그러나 올해 루나·테라 사태 등으로 가상자산 시장이 침체하면서 투자자 가운데 70% 정도가 가상자산 투자 손실을 경험했다.

향후 가상자산 투자 의향에 대해서는 58.3%가 '투자하지 않겠다'고 응답했고, 30.6%는 '투자하거나 상황을 지켜보고 결정하겠다'고 답했다.

가상자산 투자를 하지 않고자 하는 주요 이유로는 '가상자산 거래소를 신뢰할 수 없어서'(39.9%)와 '변동률이 너무 높아서'(36.1%) 등이 꼽혔다.

한편 한국 부자가 생각하는 부자의 기준 금액은 '총자산 100억원 이상'(27.0%)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조사 대상자들이 자산을 축적하는 데 가장 기여도가 컸던 원천 소득은 '사업소득(37.5%)이 가장 많았고, '부동산 투자'(25.3%), '상속·증여'(15.8%), '근로소득'(11.0%), '금융투자'(10.5%) 등 순이었다.

자산을 늘리기 위한 종잣돈은 평균 8조2천억원으로 나타났으며, 부자가 생각하는 최소 종잣돈을 모은 시기는 평균 42세로 나타났다.

viva5@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
댓글 많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