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이정식 "민주노총 총파업 피해, 노동자에 돌아갈수도…철회해야"(종합)

송고시간2022-12-01 16:57

beta

이정식 고용노동부 장관이 민주노총이 예고한 총파업의 피해가 노동자들에게 돌아갈 수 있다면서 총파업 계획 철회를 요구했다.

민주노총은 중앙집행위에서 3일 전국노동자대회를 서울과 부산 신항에서 동시에 개최하고 6일에는 동시다발적 총파업을 벌이기로 했다.

이날 이 장관은 "화물연대의 무기한 집단 운송거부, 철도노조가 예고한 파업에 민주노총이 조직적으로 연대투쟁에 나서는 것은 국민 일상생활과 경제를 어렵게 만들어 결과적으로는 노동자들의 피해로 귀결될 수 있다"라고 주장했다.

요약 정보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줄인 '세 줄 요약' 기술을 사용합니다.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과 함께 읽어야 합니다. 제공 = 연합뉴스&줌인터넷®

"불법행위 엄정 대응…노동시장 개혁 기틀 만들 것"

경사노위 자문단 "노동현장에서 공권력 살아나고 있어"

이정식 장관, 대원산업 안산공장 방문
이정식 장관, 대원산업 안산공장 방문

(서울=연합뉴스) 이정식 고용노동부 장관이 지난달 30일 안산시 단원구 대원산업 안산공장을 방문, 직원들과 간담회하고 있다. 2022.11.30 [고용노동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photo@yna.co.kr

(서울=연합뉴스) 이재영 기자 = 이정식 고용노동부 장관이 민주노총이 예고한 총파업의 피해가 노동자들에게 돌아갈 수 있다면서 총파업 계획 철회를 요구했다.

이 장관은 1일 오후 페이스북으로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 운송거부(파업)와 전날 민주노총 임시 중앙집행위원회 결과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

화물연대 파업은 이날로 8일째에 접어들었다. 민주노총은 중앙집행위에서 3일 전국노동자대회를 서울과 부산 신항에서 동시에 개최하고 6일에는 동시다발적 총파업을 벌이기로 했다.

이날 이 장관은 "화물연대의 무기한 집단 운송거부, 철도노조가 예고한 파업에 민주노총이 조직적으로 연대투쟁에 나서는 것은 국민 일상생활과 경제를 어렵게 만들어 결과적으로는 노동자들의 피해로 귀결될 수 있다"라고 주장했다.

이 장관은 "민주노총과 소속 노조가 대화와 타협이 아닌 투쟁으로 문제를 해결하려는 것은 국민의 지지와 신뢰를 얻지 못할 것"이라면서 화물연대에 운송거부 즉각 철회를 요구했다.

또 오는 2일 파업을 예고한 철도노조엔 "지하철노조가 어젯밤 파업을 마무리했듯 사측과 대화·교섭을 통해 평화적 타결을 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아울러 민주노총에 대해선 "조직화하지 못한 약자의 생계 불안과 중소기업·소상공인의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게 투쟁계획을 철회하고 사회적 대화를 통한 제도개선 등 현안 해결에 동참해달라"라고 요청했다.

이 장관은 "정부는 법과 원칙 테두리 내 당사자 간 자율적 대화와 타협은 보장하되 불법행위에는 노사와 지위고하를 막론하고 엄정 대응한다는 기조를 끝까지 지켜나갈 것"이라면서 "이를 통해 노동시장 이중구조를 깨기 위한 노동시장 개혁의 기틀을 만들겠다"라고 밝혔다.

이날 이 장관은 서울 서초구 신반포4지구 재건축 정비사업 현장을 찾기도 했다.

신반포4지구 재건축 정비사업은 화물연대 운송거부로 콘크리트 타설 작업이 중단돼 골조 공사가 지연되고 있다고 노동부는 설명했다.

이정식 고용노동부 장관이 1일 페이스북에 올린 글. [페이스북 갈무리. 재판매 및 DB 금지]

이정식 고용노동부 장관이 1일 페이스북에 올린 글. [페이스북 갈무리. 재판매 및 DB 금지]

한편 노동계와 관련 학계 원로로 구성된 경제사회노동위원회(경사노위) 자문단은 이날 첫 회의를 열고 "화물연대 등의 불법행위에 업무개시명령 등 법과 원칙에 따라 단호히 대응하겠다는 대통령과 정부의 원칙을 지지한다"라고 밝혔다.

자문단은 "불법 노동현장 등에서 국가 공권력이 다시 살아나고 있다는 현장의 목소리가 있다는 점도 (회의에서) 공유됐다"라고 덧붙였다.

자문단은 배진한 충남대 명예교수, 최영기 한림대 객원교수, 윤기설 일자리연대 대외협력위원장, 김준용 전국노조 사무총장 등으로 구성됐다.

이날 회의에는 자문단과 김문수 경사노위 위원장, 김덕호 경사노위 상임위원 등이 참석했다.

경사노위는 대통령 직속 노사정 사회적 대화 기구이다.

jylee24@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
오래 머문 뉴스